'비선 실세' 최순실씨 측근으로 '문화계 황태자'로 불린 차은택씨가 변호인을 통해 최씨 지시로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만난 적이 있다고 밝혀 파장이 예상됩니다.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장모, 최순실씨 등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도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차씨의 변호인인 김종민 변호사(법무법인 동인)는 오늘(27일) 오후 차씨가 구속기소 된 이후 서울중앙지검에서 취재진과 만나 "2014년 6∼7월께 청와대 비서실장 공관에서 당시 김 비서실장과 김 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정성근 문체부 장관 내정자를 만난 사실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당시 최씨가 차씨에게 '어디론가 찾아가 보아라'고 해서 지시에 따랐고, 그 장소가 청와대 비서실장 공관이었다는 게 김 변호사 설명입니다.
여기서 차씨는 김 전 실장과 10분가량 면담을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변호사는 모임 성격을 '인사하는 자리 정도'라고 설명했습니다.
당시 자리에 있었던 것으로 거론된 정성근 전 아리랑TV 사장은 "저는 당시 아리랑TV 사장으로 간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장관 내정을 고사하던 중이었는데, 김 전 실장이 저를 불러서 확답을 빨리 들어야겠다고 말씀했다"고 떠올렸습니다.
정 전 사장은 "당시 차관(김종)과 누구 한 사람이 왔던 것은 기억하는데, 그 사람이 그 사람(차은택)인 줄은 모르겠다"며 "기억이 잘 없다"고 말했습니다.
김 변호사의 이날 발언은 최씨와 김 전 실장 간 모종의 관계가 있었음을 드러냄과 함께 당시 참석한 인물들의 면면으로 미뤄봤을 때 인사 관련 논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특히 김 전 실장은 최씨 관련 의혹이 불거지자 최씨를 전혀 모른다고 줄곧 해명해왔는데 이를 뒤집는 증언이어서 주목됩니다.
차씨는 김 전 실장에게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을 소개해 원장 자리에 오르도록 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는데, 김 변호사는 "차씨가 김 전 실장에게 송씨를 직접 소개했다고 전해진 건 오보"라며 "최씨에게 송씨를 추천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차씨가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김 변호사는 "차씨가 청와대에 2∼3차례 간 사실은 있지만, 밀라노 엑스포 업무 준비사항 보고 등 공식적인 업무를 위해 간 것이며 박 대통령을 독대한 사실은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아울러 차씨가 경기도 화성 기흥컨트리클럽에서 최순실씨, 우 전 수석의 장모인 김장자 삼남개발 회장, 최씨의 또다른 측근인 고영태씨와 골프를 친 것에 대해서도 김 변호사는 사실이라고 전했습니다.
기흥CC는 우 전 수석 처가가 사실상 최대 주주인 골프장입니다.
골프 모임의 시기는 우 전 수석이 청와대 민정비서관으로 임명되기 전으로 전해집니다.
김 변호사는 "모임의 성격과 당시 나눈 대화에 대해서는 모른다"면서도 "자리를 제안한 건 최순실씨로 추측된다"고 부연했습니다.
차씨는 우 전 수석과의 연관성을 의심받아 왔습니다.
이성한 미르재단 전 사무총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차은택씨에게 '이런 식으로 재단을 운영해도 문제가 없겠느냐'고 묻자 차씨가 '우 수석이 뒤를 봐주고 있어 문제없다'고 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 전 사무총장은 차씨가 우 전 수석의 명함을 보여주기도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우 전 수석은 최씨의 '국정농단'을 묵인·방조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으며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 있습니다.
정권 초기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지낸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9월 대정부 질문에서 "우 전 수석의 청와대 입성에 최씨와의 인연이 작용했다는 얘기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김 변호사는 오늘 차씨를 기소하면서 검찰이 밝힌 혐의에 대해서는 "회삿돈 횡령 사실에 대해서는 전부 인정하는 입장"이라며 "그러나 그 외에 나머지 3개 범죄사실에 대해서는 견해가 달라 법정에서 다툴 여지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어 그간 검찰 조사에 협조해 왔음을 재차 강조하면서 "앞으로 국정조사나 특검 수사 과정에서도 변함없이 일관되게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