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사실상 '한 지붕 두 집안'으로 분열된 가운데 비주류측이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처리 문제를 고리로 주류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나섰다.
탄핵소추안 본회의 가결을 위한 '여당몫 찬성표' 최저선으로 여겨진 의석수(28석)을 훌쩍 넘는 40석을 확보했다고 발표한 데 이어 "당이 탄핵을 회피하는 듯한 인상을 줘선 안된다"면서 탄핵 정국에서 당내 주도권을 틀어쥘 태세다.
김무성 전 대표, 유승민 전 원내대표 등을 필두로 한 비주류측은 25일 자신들이 소집 요구한 의원총회가 열리기 전부터 '선제공격'에 나섰다.
우선 비주류 중심의 비상시국회의는 의총에 앞서 브리핑을 통해 "탄핵안이 상정될 경우 찬성하겠다는 의원이 40명으로 확인됐다"고 숫자를 공개한 뒤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고 자신했다.
또 비주류 3선 황영철 의원은 CBS라디오에 출연, 전날 이 대표의 '예수 팔아먹는 유다' 발언을 문제삼으며 "국민을 배신한 사람들이야말로 유다다. 굉장히 반대로 얘기하셨다"면서 "이렇게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는 한 아무것도 우리 친박 지도부에 기댈 수 없다"고 거세게 비판했다.
이들은 의총이 시작되자마자 본격적인 공세에 돌입했다.
친박(친박근혜)계 주류 의원들이 대부분 불참한 탓에 전체 의원 128명 가운데 절반 정도인 60여명만 참석해 계파간 세 대결은 이뤄지지 않았지만 발언 수위는 만만치 않았다.
특히 비주류측은 다음달 2일이나 9일에 탄핵소추안을 본회의에서 처리하자는 더불어민주당의 제안에 반대하는 동시에 자신에게 협상 권한을 일임해달라는 정진석 원내대표의 제안에도 제동을 걸며 주도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무성 전 대표는 "광장의 분노를 헌법적 절차 속으로 끌어들여야 하고, 그 헌법적 절차를 밟는 건 탄핵 절차"라면서 "탄핵은 무너진 헌법 질서를 헌법적 절차에 따라 복원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나경원 의원은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촛불로 나타나는 국민의 민심과 국정이 극도로 혼란스러운데 조속히 안정시키려면 로드맵을 보여줘야 한다"면서 "그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출발점은 탄핵안을 해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 원내대표의 제안에 대해 "자칫 새누리당이 탄핵에 대해 회피하는 인상을 줄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김영우 의원도 의총 직후 기자들에게 "대통령이 검찰 수사를 회피하고, 만일 새누리당도 탄핵을 회피하거나 늦춘다면 그건 정말 국민을 두번 세번 실망시키는 일"이라며 "안 되는 일"이라 강조했다.
하태경 의원은 "만약 새누리당이 조기 탄핵을 거부한다면 내일(26일) 광장에 나오는 국민의 발 아래 새누리당이 깔려 죽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주류 의원들은 오는 27일 오후 비상시국회의 총회를 열어 탄핵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키로 했으며, 정 원내대표는 탄핵 협상에 대한 당내 의견 수렴을 위해 앞으로 일주일에 2번씩 의총을 열겠다 약속했다고 복수의 의총 참석자들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