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시간으로 24일 영국 BBC는 '왜 한국의 부패 스캔들(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이 전혀 새롭지 않은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 대통령 측근 비리의 원인을 이처럼 분석했습니다.
![[뉴스pick] BBC '한국의 부정부패는 박정희에서 시작](http://img.sbs.co.kr/newimg/news/20161125/200999345_1280.jpg)
그리고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정부와 재벌 간의 정경유착을 지목한 BBC는 박정희 정권 당시의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현 박근혜 대통령의 아버지임을 거론한 BBC는 박정희 정권이 근대화를 진행하면서 재벌을 선택했고, 이후 대기업 중심의 고속 성장을 하면서 한국에서 정부가 경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분석했습니다.
![[뉴스pick] BBC '한국의 부정부패는 박정희에서 시작](http://img.sbs.co.kr/newimg/news/20161125/200999346_1280.jpg)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한국역사학 황경문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혜택을 받으면 상응하는 보상을 해야 한다는 변질된 유교적 가치가 독재정권에서 활발했다"면서 "고위 관료들은 대기업에게 뇌물을 받으면 그에 보답해야 한다는 의무감에서 부패를 당연하게 여겼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BBC는, '검찰의 수사와 부패에 저항하는 수많은 국민들의 저항, 이른바 '김영란 법'과 같은 새로운 법들, 끈질긴 한국언론' 등을 볼 때 아직 한국사회에서 희망이 남아 있다고도 설명했습니다.
(사진 = BBC 홈페이지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