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정교과서 의견 듣겠다더니…이상한 웹사이트

<앵커>

노유진 기자, 이번 국정교과서를 깜깜이 교과서라고 부르는 이유를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까요?

<기자>

사실 이번 국정 교과서가 깜깜이 교과서라고 계속해서 불렸는데요, 행정 법원 판결이 의미가 있지만 사실상 늦은 감이 있습니다.

우선 편찬 기준 자체가 공개되지 않았었기 때문인데요, 이 편찬 기준이 월요일 날 교육부가 공개하겠다고 이야기를 했지만, 지난 1년간 거의 공개가 되지 않았습니다.

편찬 기준 공개가 되지 않으면서 이준식 부총리가 지난 4월이었죠,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원고본이 나오면 그때 공개를 하겠다, 라고 이야길 했는데 7월이 됐을 땐 또 말이 바뀌었습니다.

원고본이라는 게 결국엔 교과서 초고인데, 교과서 초고가 나왔을 때는 말이 바뀐 겁니다.

그러니까 결국 1년간 아무런 편찬 기준 공개 없이, 쭉 공개 없이 된 건데요, 또 집필진 역시 공개가 없었습니다.

47명을 한 번도 공개한 적이 없는데요, 제가 오늘 이걸 들고 나와봤는데 이게 집필진 추정자 정보입니다.

이게 추정한 건데요, 어떻게 추정한 거냐면 역사 학계에 있는 사람한테 제보를 받아서 '어떤 사람들이 과연 집필을 하고 있느냐.' 제보를 받은 겁니다.

그러니까 여태까지 한 번도 공개되지 않은 채 일 년간 깜깜이로 계속해서 집필이 되고 있었던 상황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어쨌든 다음 주에 현장 검토본을 공개하고 의견도 받겠다는 것 아닙니까? 그런데 이 과정에서도 문제가 있다면서요?

<기자>

현장 검토본이라는 것이 웹사이트를 통해서 공개가 되는데요, '웹사이트에서 공개를 해서 공개 토론이 이뤄질 것이다.' 이렇게 사람들은 생각을 하고 있는데, 이 웹사이트가 사실 조금 이상합니다.

이 웹사이트가, 본인 인증을 거쳐야만 글을 쓸 수 있는데요, 본인 인증을 거치는 것까지는 좋은데, 공개 게시판이 없습니다.

그러니까 본인 인증을 거쳐서 글을 쓰더라도 본인만 그 글을 볼 수 있는 건데요, 문제는 이의제기 형식으로 글을 써도 본인에게는 답변을 해주지 않습니다.

교육부한테 이의제기를 했지만, 그 답변이 어떻게 교육부 교과서에 반영이 됐는지 본인은 알 수 없는 거죠.

그러니까 댓글처럼 활발한 토론이 이뤄지지도 않고, 이의제기가 어떤 식으로 반영이 됐는지도 모르는 겁니다.

1억 원 가까이 쓰게 됐는데요, 이 돈을 쓰면서도 교육부가 계속 '깜깜이로 운영을 하겠다.' 이런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지금까지 전개돼 온 과정을 보면 '어쨌든 의견은 듣지 않겠다.' 이런 느낌이 오는군요. 잘 알았습니다.  

▶ "'깜깜이 교과서' 집필은 위법…기준 공개하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