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현대중공업 3분기 영업이익 3천218억…3개 분기 연속 흑자

현대중공업이 전세계적인 조선업 불황에도 3분기에 흑자를 내며 3개 분기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하지만 이는 희망퇴직과 설비감축 등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 절감에 힘입은 '불황형 흑자'라는 분석이 나온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3천21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26일 공시했다.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8조8천391억원, 당기순이익은 3천344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은 10.4% 줄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42.2%, 14.8%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매출은 19% 줄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이로써 현대중공업은 작년까지 9분기째 적자를 냈다가 올 1분기에 턴어라운드(실적개선)에 성공한 이후 올 3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특히 지난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조선, 해양 등 주요 부문에서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현대중공업의 3분기 영업흑자는 구조조정 효과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중공업은 "물량 감소로 전분기 대비 매출은 하락했으나, 2014년 하반기부터 펼쳐온 경영합리화 노력을 바탕으로 조선, 해양 등 주요 사업부문에서 수익을 냈다"며 "특히 사업본부 대표체제 구축으로 각 사업본부에서 펼쳐온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 등 꾸준한 체질개선 작업이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현대중공업은 "조선부문은 수익성이 양호한 선박의 건조비중이 증가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이어갔고, 해양부문은 야드 과밀화 해소로 공정이 안정돼 흑자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자회사인 현대오일뱅크의 정유 부문 수익도 흑자에 기여했으나, 정제마진 하락으로 전분기 대비 흑자폭은 소폭 줄어들었다.

이밖에 엔진기계, 건설장비, 전기전자시스템 등 비조선산업부문도 지속적인 재료비 절감과 생산 효율화 과정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했다고 현대중공업은 설명했다.

하지만 올 3분기 매출이 8조원대까지 줄어든 것에서 보듯 흑자 소식이 마냥 반길 일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현대중공업의 3분기 매출은 증권가의 전망치인 9조6천여억원보다 8천억원가량 낮았다.

수주 급감으로 매출이 줄어든 것이다.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

연말까지 사상 최악의 수주가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9월말 기준 현대중공업그룹 조선3사(현대미포조선·현대삼호중공업 포함)의 올해 수주실적은 60억 달러로 연간 목표치(265억달러)의 22.5%를 달성한 상태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내년에도 저유가가 계속되고 업황 악화로 어려움이 지속될 전망"이라며 "불확실한 외부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영진 인사를 앞당기고, 내년도 사업계획을 조기에 확정 짓는 등 흑자 기조 유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