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양성평등 144개국 중 116위…특히 임금 격차 제자리걸음

한국의 양성평등 수준이 전 세계 144개국 중 116위로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세계경제포럼(WEF)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지구촌 전체를 보면 남녀의 경제적 격차는 더 벌어져 이를 좁히려면 무려 170년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습니다.

WEF가 26일 발표한 '세계 성 격차 보고서 2016'(Global Gender Gap Report 2016)에 따르면 한국은 성 격차 지수 0.649로 조사 대상 144개국 중 몰디브(115위)와 앙골라(117위) 사이의 116번째를 기록했습니다.

성 격차 지수는 1에 가까울수록 더 평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이 부문 순위는 작년 조사에서는 145개국 중 115위, 2014년에는 142개국 중 117위였습니다.

WEF는 2006년부터 11년째 경제 참여·기회, 교육 성과, 보건, 정치 권한 등 4개 분야에서 성별 격차를 수치화해 국가별 순위를 매기고 있습니다.

올해 지수를 분야별로 보면 한국의 보건은 76위, 정치 권한은 92위였으나 교육 성과는 102위, 경제 참여·기회가 123위로 그보다 순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제 참여·기회 중에서도 남녀 임금의 격차가 특히 좁혀지지 않는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비슷한 일을 할 때의 임금 평등(설문) 항목에서 125위에 그쳤고 추정 근로소득(구매력 기준) 수준도 남성이 4만6천183달러, 여성이 2만760달러로 격차를 나타내 120위에 그쳤습니다.

보건 분야에서는 건강기대수명 평등에서 세계 1위지만, 출생 시 남녀 성비 불균형은 125위로 분야 전체 순위를 깎았습니다.

정치 권한 분야에서는 여성 국가수반 집권 기간 항목이 29위로 높으나 각료 중 남녀 비율이 128위에 불과했습니다.

가장 양성평등이 잘 실현된 나라는 여전히 아이슬란드(0.874)이며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들이 나란히 뒤를 이었습니다.

아시아 국가 중에는 필리핀이 7위로 가장 높고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각각 87, 88위, 중국은 99위, 일본은 111위로 한국보다 높았습니다.

최하위 국가들은 예멘, 파키스탄,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 대부분 중동 국가들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