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산지하철 2차 파업도 철회…25일 운행 정상화

부산지하철 노조가 2차 파업에 들어간 지 나흘 만인 오늘(24일) 파업을 자진 철회하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차질을 빚던 지하철 운행은 내일부터 정상화됩니다.

노조는 오늘 오후 2시 부산 금정구 노포차량기지창에서 조합원 비상총회를 열어 파업 중단을 선언하고, 오후 6시 업무에 복귀하기로 했습니다.

부산교통공사는 이에 따라 시설물을 점검하고 인력 배치를 거쳐 내일 오전 5시 5분 첫차부터 도시철도 1∼4호선 전동차 운행을 모두 정상화합니다.

부산지하철 노조는 지난달 27일 1차 파업에 들어갔다가 나흘 만인 같은 달 30일 자진 철회하고 업무에 복귀했으나 이달 21일 다시 2차 파업을 시작했습니다.

노조는 이번에도 1차 파업 때와 마찬가지로 노사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파업을 접었습니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이번 파업 기간에 사측은 아무런 교섭의지를 보이지 않았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파업을 계속하는 것은 시민불편만 초래한다고 판단해 업무에 복귀하고 현장투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노조는 또 사측이 성과연봉제 도입을 강행하고 기존 노선 인력을 구조조정해 내년 4월로 예정된 도시철도 1호선 다대선 연장구간 개통을 일방적으로 시도하면 3차 파업을 벌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노조는 박종흠 부산교통공사 사장을 비롯한 임원진 퇴진운동도 벌이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노조가 2차례에 걸친 파업에도 아무런 성과 없이 파업을 접었기 때문에 추가 파업을 할 동력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많습니다.

또 파업 기간에 사측이 필수유지 인력과 비조합원 등을 대거 투입해 평일 출·퇴근 시간에 평소와 같이 전동차를 운행하고, 휴일에도 평상시의 84% 수준으로 전동차를 운행해 파업의 효과가 거의 없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부산불꽃축제가 열린 22일에는 예년과 마찬가지로 전동차를 오히려 대거 증편 운행하면서 노조의 파업이 시민의 관심에서 멀어지는 결과를 빚었습니다.

부산지하철 노사협상에서 가장 큰 걸림돌은 성과연봉제 도입 문제입니다.

사측은 정부 방침대로 내년 1월 1일 본격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노조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최근 협상에서 임금 인상이나 다대선 연장구간에 배치할 인력 규모와 충원 방법 등 다른 쟁점은 논의조차 못 했습니다.

노조는 또 임금 4.4% 인상을 요구한 반면 사측은 동결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도시철도 1호선 다대선 연장구간을 위한 인력 배치와 관련해서도 노조는 신규 인력 269명 채용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기존 노선 인력 178명을 줄여 재배치하고 신규 인력은 5명만 충원하면 된다는 주장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