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악재 공시 지연의혹' 한미약품 "절차상 지연…의도없어"

한미약품이 하루 차이로 호재와 악재 공시가 잇따른 것과 관련해, 절차상 과정에서 벌어진 일일 뿐 의도적이진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김재식 한미약품 부사장은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공시를 위한 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지연됐을 뿐 다른 의도가 있는 건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미약품은 지난달 29일 장 마감 후인 오후 4시50분 미국 제넨테크에 1조원 상당의 표적 항암제를 기술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다음 날인 30일 9시 30분 쯤에는 베링거인겔하임에 기술이전한 또 다른 표적 항암신약 '올무니팁'의 개발이 중단됐다는 공시를 냈습니다.

24시간도 되지 않아 호재와 악재 공시가 연달아 나오면서 시장은 크게 요동쳤습니다.

특히 30일 개장 직후 악재 공시가 나오기 전까지 약 30분 동안 매수했던 투자자들은 큰 손해를 볼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미약품은 의도성이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미약품은 제넨테크와의 기술수출 계약이 성사돼 통지받은 건 29일 아침이며 24시간 이내 공시해야 한다는 규정에 따라 당일 오후 4시 반쯤 공시를 완료했습니다.

이후 베링거인겔하임의 개발 중단 통지를 받은 건 같은 날인 29일 오후 7시 6분쯤입니다.

한미약품 측은 이 내용이 주식시장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오후 당직자 등에 맡길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습니다.

공시는 한국거래소 담당자의 검토와 승인을 통해 나오게 돼 있는데, 야간 근무자에게 맡길 사안이 아니었다고 판단했다는 겁니다.

다음날 회사 측 공시담당자가 오전 8시 30분쯤 거래소에 도착해 공시를 위한 절차를 진행했으나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늦어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미약품은 또 올무티닙을 투여한 환자에게서 부작용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서도 명확한 시기를 밝혔습니다.

올무티닙을 투여한 뒤 환자 3명에게서 피부 괴사 등 부작용이 일어나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치료를 받았는데 식약처가 시기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한미약품은 부작용에 따른 사망 사례가 첫 보고된 건 지난 4월이며 나머지는 6월과 9월이라고 밝혔습니다.

올무티닙은 지난 5월 식약처로부터 조건부 승인을 받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