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철강산업, 값싼 중국산에 고부가·첨단화로 대응한다

철강산업, 값싼 중국산에 고부가·첨단화로 대응한다
"산업 내 파괴적인 혁신이 어려운 성숙기 산업이다."

현재 철강산업에 대한 정부의 종합적인 평가다.

정부는 30일 공개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보고서에서 "철강산업은 자산 대비 부가가치 창출 수준이 낮고 하락 추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산을 100으로 봤을 때 철강산업의 부가가치 창출 수준은 2010년 16.6(전체 산업 17.9)에서 2015년 12.1(16.9)로 떨어졌다.

장치산업(각종 대규모 장치를 설치해야 생산이 가능한 산업)의 특성상 공급의 탄력적인 조절이 어렵고 수요산업 경기 변동에 민감해 호황과 불황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점도 철강산업의 한계로 지적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철강공급은 전 세계적으로 과잉상태다.

지난해 글로벌 공급과잉 규모는 7억5천만t에 달했다.

정부는 철강 수요가 연 1%의 저성장을 지속하는 반면, 조강능력은 최대 28억t 규모로 늘면서 적어도 2020년까지 7억∼12억t 수준의 공급과잉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수급 역시 조선·에너지개발 산업 등의 침체로 인해 후판, 강관 등 일부 품목에서 과잉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한정된 시장을 두고 값싼 중국산과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점도 우리 철강산업을 옥죄는 요인이다.

중국산 철강재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2009년 13%에서 2015년 25%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이대로 간다면 한때 '산업의 쌀'로 불리며 우리 경제를 견인해온 철강산업이 신발, 가발 등 섬유산업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범정부 차원에서 철강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들고나온 것도 선제로 대응해 해당 산업의 쇠락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에서다.

일본은 이미 3차례에 걸쳐 일관제철소(제선·제강·압연 등 철강을 만드는 전 공정이 가능한 제철소)를 통합하는 구조조정을 단행했고, 유럽연합(EU)은 다국적 인수합병(M&A)을 통한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중국은 현지 2위 업체인 바오산과 6위 업체인 우한강철의 합병을 승인하며 구조조정을 시작했다.

정부는 우리도 공급이 과다하거나 경쟁력이 떨어지는 일부 품목을 중심으로 M&A 등을 통한 재편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에 따라 비용과 품질은 우수하지만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이 부진한 판재류 업체는 기업 간 M&A와 우수 생산설비 통합을 통해 경쟁력을 키운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업체별로 경쟁력이 들쭉날쭉한 강관업계 또한 경쟁력 있는 종합 또는 전문강관업체가 이자조차 내기 어려운 한계기업의 보유자산을 선택적으로 인수하고 숙련인력은 고용을 승계해 전체적인 수준을 올리기로 했다.

후판은 중국산과의 거의 품질 차이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만큼 조선산업의 수요와 해외 경쟁기업의 동향을 살피며 단계적 설비 감축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방침이다.

철근·형강은 국내 수요를 맞추는 수준으로 생산설비를 유지하되 중장기적으로는 수입재와의 경쟁 여건을 고려해 설비를 조정한다.

산업의 전반적인 재편과 더불어 고부가·첨단화에도 역량을 집중한다.

이를테면 석탄이 아닌 수소를 활용한 첨단 고로를 개발해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15% 줄임으로써 국제적 온실가스 감축 움직임에 대응하고 설비경쟁력을 높인다.

또 첨단 정보통신(I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제철소'를 보급해 설비 관리와 생산품질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고 경제적 생산체제를 구축한다.

이외에도 철강사, 대학, 연구소가 협력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새로운 수출시장을 개척해 점점 높아지는 무역장벽에 대응키로 했다.

정부는 "미래 고부가가치 분야에 대해서는 연구개발(R&D), 인력 양성, 금융·세제 지원 등 3대 핵심 정책수단을 통해 신속하게 지원하고, 공급과잉으로 진단된 분야는 기업의 선제적인 사업재편과 기업활력법 지원으로 과잉설비가 해소될 수 있도록 업계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