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출 부진·구조조정에…제조업 고용비중 3년 만에 최저

수출 부진과 구조조정 악재가 겹치며 제조업 고용비중이 3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441만 8천 명으로, 전체 취업자 2천652만 8천 명의 16.7%를 차지했습니다.

전체 취업자 대비 제조업 비율이 이보다 더 낮았던 것은 2년 10개월 전인 2013년 10월 16.5%가 마지막이었습니다.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8월 15.9%로 역대 최저점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16∼17%대를 오르락내리락했습니다.

이 비율은 올해 1∼2월만 해도 17.9%까지 올랐지만, 3월 17.5%로 꺾이더니 이후 8월까지 매달 떨어졌습니다.

특히, 제조업 취업자 비중이 높은 울산과 경남에서도 이 비중이 가파르게 하락하며 지역 경제 둔화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울산의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지난달 기준으로 35.4%였는데, 이는 2013년 8월 35.2% 이후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경남은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비중이 24.4%로 7월 23.6%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7월 수치가 2008년 4월 23.4% 이후 최저였습니다.

제조업 고용비중이 자꾸 줄어든 것은 수출 부진에 구조조정 여파가 겹쳤기 때문입니다.

자동차와 철강, 전자 등 주력 제조업의 대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세계 경기가 부진해지자 수출은 7월까지 역대 최장 기간인 19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거듭했습니다.

지난달 들어 플러스로 전환했지만, 조업 일수 증가 등에 힘입은 반짝 반등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여기에 올해 4월 이후 조선업·해운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한 점도 제조업 일자리를 끌어내리는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제조업 취업자 수는 2012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4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오다가, 7월부터 6만 5천 명 줄면서 마이너스로 돌아섰습니다.

지난달에도 7만 4천 명이 줄어 감소세가 더욱 가팔라졌습니다.

고용정보원은 "제조업은 경제 둔화 심화와 중국의 추격, 생산기지 해외 이전 등으로 2015년 이후부터 상용 근로자를 줄이고 임시·일용 근로자를 늘리는 방식으로 취업자 수를 늘렸다"며, "이제까지는 임시·일용 근로자 증가세가 제조업 일자리 충격을 줄이는 완충 작용을 했지만 제조업 가동률 하락, 수출 부진 심화, 구조조정 본격화로 감소세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