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012년 '수도권 지진위험' 보고서 국민에 안 알려"

서울 등 수도권의 지진 가능성을 담은 보고서가 4년 전 만들어졌으나 국민에게는 알리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담당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서울 부근을 지나는 활성단층의 존재를 담은 보고서의 배포를 제한했다는 주장이다.

국회 미래창조과학통신위원회 소속 고용진(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9일 국회에서 열린 원자력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활성단층 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연구용역 보고서의 배포제한요청사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소방방재청(현 국민안전처)의 의뢰로 2009∼2012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만든 것이며, 배포를 제한해달라는 요청 사유서에는 연구책임자인 최성자 박사의 이름과 도장이 찍혀 있다.

요청사유서에 실린 '전담평가단 의견'에는 "서울 부근의 활성단층 통과 부분은 민감한 사안이므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과제담당관 의견'에는 "연구결과가 외부에 허가 없이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관리 철저필요"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이에 대해 국감장에 출석한 최성자 박사는 "서울 부근에 추가령 단층과 왕숙천 단층이 있는데, 두 단층의 일부가 굉장히 젊은 것으로 추정돼 수도권에 (지진) 문제가 우려됐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고용진 의원은 "연구과제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연구의 목적은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는 활성단층을 연구해 지진지도를 제작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내용이 민감하다는 이유로 감추기에 급급한 지질연의 행태는 시정돼야 한다"며 "미국, 일본, 뉴질랜드 등은 국민이 자유롭게 활성단층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등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