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국민 45% 대북정책 만족…작년보다 하락"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에 만족하는 국민이 지난해보다 줄어 처음 절반을 밑돈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오늘(28일) 공개한 '2016 통일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5.1%가 정부의 대북정책에 만족한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조사 때의 50.4%에 비해 5.3%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박근혜 정부 들어 처음 5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의 만족도만 지난해 대비 0.6%포인트 상승했을 뿐 30대에서 10.8%포인트 줄어드는 등 나머지 연령대에서 모두 대폭 하락했습니다.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층에서 지난해에 비해 11%포인트나 급락했습니다.

연구원의 김병로 교수는 "핵실험이 거듭되면서 북한발 위기가 반복되는 데 따른 '대북압박정책'에 대한 피로감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북한의 4차(올해 1월 6일)와 5차(9월 9일) 핵실험 사이에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는 북한의 도발 가능성 등에서 북한에 대한 긍정 인식 비율이 다소 늘어난 점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이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66.1%가 '그렇다'고 답했는데, 이는 지난해 70.5%보다 감소한 수치습니다.

북한 정권을 대화와 타협이 가능한 대상으로 보는 응답자는 지난해 28.7%에서 올해 30.5%로 소폭 증가한 반면 북한의 핵을 위협으로 느낀다는 응답자는 84%에서 79.5%로 줄었습니다.

북한과 교류협력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늘어났습니다.

남북경협이 북한의 개혁개방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자는 지난해 60%에서 58.2%로 줄었습니다.

개성공단을 재가동해야 한다는 주장도 49.8%에서 47.0%로, 금강산 관광을 재개해야 한다는 주장 역시 55%에서 50.4%로 감소했습니다.

또 우리나라의 자체 핵무기 보유에 찬성한다는 응답자는 지난해보다 3.0%포인트 하락한 52.8%를 나타냈습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60.8%)에서 찬성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20대 이하(44.8%)가 가장 적었습니다.

대체로 학력 수준과 소득이 높을수록 찬성 비율이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통일평화연구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7월 1∼22일 전국의 만 19∼74세 성인 남녀 1천20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조사 결과의 표본오차는 ±2.8%이며 신뢰 수준은 95%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