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경연 "성과급제, 노동시장 '미스매치' 해소에 도움"

성과급제 도입이 구직자와 기업이 서로 원하는 조건이 맞지 않아 발생하는 노동시장 미스매치 해소에 도움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8일 '성과급제와 노동시장 미스매치 해소' 보고서에서 "성과급 일자리가 비성과급 일자리보다 근로자 특성과 임금 간의 연계가 더 높아 근로자와 기업 간 매치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라고 말했다.

근로자 특성은 교육연수와 경험연수, 근속연수 등 근로자의 생산성과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자 개인의 특성이다.

한경연은 근로자 특성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이 성과급 일자리의 경우 비성과급 일자리보다 약 2.2배 높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성과급 일자리 근로자는 교육연수가 1년 증가하면 임금이 약 10만원 상승했는데 비성과급 일자리 근로자는 약 4만6천원 상승하는 데 그쳤다.

한경연은 "성과급은 높은 생산성을 보유한 근로자일수록 더 높은 보상을 받기 때문에 유능한 근로자를 일자리로 유인할 수 있다"며 "이는 빈 일자리가 있음에도 자신이 원하는 조건을 제공하는 일자리를 찾으려고 실업상태로 남아있는 구직자들의 고용 가능성을 높여 노동시장 미스매치를 완화한다"고 주장했다.

또 "현 근무지의 직무와 보상이 불만족스러운 잠재이직자들의 이직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사업체의 약 44%가 성과급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사업체 수가 가장 많은 제조업의 시행률은 42% 정도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