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상공인 71%, 5년 내 문 닫아…식당·여관은 1년 내 절반 폐업

창업한 소상공인 10명 가운데 7명은 5년을 채 버티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소상공인 종사 업종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음식·숙박업의 생존율이 저조했습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채익 의원이 중소기업청에서 받은 '소상공인 생존율' 자료에 따르면 2008년 창업한 소상공인 가운데 2013년까지 활동한 비율은 29.0%에 불과했습니다.

연차별 생존율을 보면 창업 1년차 60.1%에서 2년차 47.3%로 급감한 뒤 3년차 38.2%, 4년차 32.2%, 5년차 29.0%로 꾸준히 떨어졌습니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 예술·스포츠·여가업, 금융·보험업의 생존율이 최하위권에 속했습니다.

숙박·음식점업 생존율은 1년 만에 절반 수준인 55.6%로 떨어졌습니다.

음식점 혹은 숙박시설 10곳 가운데 5곳은 문을 연 지 1년도 안 돼 폐업했다는 의미입니다.

이어 2년차 39.5%, 3년차 28.5%, 4년차 21.5%, 5년차 17.7%로 생존율이 내려앉았습니다.

금융·보험업 생존율은 1년차 45.7%, 2년차 27.3%, 3년차 23.3%, 4년차 16.2%, 5년차 13.9%로 전체 업종 가운데 가장 낮았습니다.

예술·스포츠·여가업도 같은 기간 54.0%, 40.5%, 27.6%, 18.9%, 14.3%의 저조한 생존율을 보였습니다.

반면, 전기·가스·수도업은 5년차 생존율이 71.4%로 가장 높았습니다.

운수업(5년차 생존율 42.3%), 부동산·임대업(43.4%)도 창업 5년 후까지 절반가량이 살아남았습니다.

2014년 기준 소상공인은 전체 사업체의 86.4%인 306만개에 달했습니다.

종사자 수는 605만명으로 37.9%를 차지합니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28.6%로 가장 많았고 음식·숙박업 20.1%, 제조업 17.0%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 의원은 "소상공인 대다수가 5년을 버티지 못한 데다가 생계형 창업이 많은 업종에서 더 낮게 나타난 것은 그만큼 자영업을 하기가 어려운 환경임을 보여준다"며 "정부는 우리 경제의 실핏줄 역할을 하는 소상공인의 애로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생존율을 높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