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재난구조용 국가지점번호 설치 지역별 편차 최대 18배

설치율 전국 최저 전남 0.7%, 제주 13.2%’ 윤영일 의원 "최근의 지진 등 자연재해 대비 위해 설치율 높여야"

재난구조용 국자지점번호 설치율이 시도간 최대 18배나 차이가 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윤영일 의원(국민의당, 해남·완도·진도)이 한국국토정보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가지점번호 검증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시도간 설치율 편차가 최대 18배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지점번호가 가장 많이 설치된 지역은 제주도로 설치예상량 대비 실제 설치율 13.2%였다.

그 다음으로 광주 11.4%, 서울 10.3% 순이었으며 전남은 0.7%로 가장 낮았다.

또한 산악지형이 주를 이루고 많은 등산객들이 찾는 강원도와 전북, 경북의 경우도 각각 설치율이 1.7%, 0.9%(전북, 경북 동일)밖에 되지 않아 가을철 산행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9~10월 안전사고 발생시 구조에 어려움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국가지점번호는 산·들·바다 등 건물이 없는 지역, 즉 도로명 주소가 부여되지 않은 지역의 위치를 쉽게 표시할 수 있도록 전 국토의 통일된 위치 안내 표시방법이다.

재난·재해 사고 등 긴급 상황 발생시 소방, 경찰, 행정기관 등 관계 기관간 정확한 위치 및 위지정보 공유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최근 발생한 지진의 구조·구난 작업과도 무관하지 않다.

배달, 사건사고 등 특정지점 위치기록, 농수산물 산지표시 및 추적관리 등 대국민 위치 안내서비스 제공에도 활용할 수 있다.

윤 의원은 "조난자 구조를 위한 국가지점번호의 과도한 시도간 격차는 바람직스럽지 않다"며 "재정이 열악한 시도가 면적은 넓은 반면 국가지점번호 설치율은 낮은 만큼 국가재정투입을 통해 격차를 해소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