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제왕절개 분만, 정맥혈전 위험 4배"

"제왕절개 분만, 정맥혈전 위험 4배"
임산부는 정맥혈전이 생기기 쉽습니다.

정맥울혈 같은 출산과 관련된 외상으로 혈액응고인자가 증가하고 출혈억제인자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제왕절개 분만은 정상 분만에 비해 이러한 정맥혈전으로 인한 정맥혈전색전증 위험을 4배나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정맥혈전색전증이란 다리 등의 심부정맥에서 형성된 혈전 조각이 떨어져 나와 혈류를 타고 돌다가 다른 혈관을 막아버리는 것으로 폐동맥을 막으면 폐색전증, 관상동맥을 막으면 심장발작, 뇌동맥을 막으면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위스 제네바 대학병원 혈관-지혈과의 마르크 블론돈 박사 연구팀이 지금까지 발표된 관련 연구논문 60편을 종합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어제 보도했습니다.

제왕절개 분만은 정맥혈전색전증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예정되지 않은 응급 제왕절개 분만인 경우 그 위험이 더 컸다고 블론돈 박사는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제왕절개 분만 여성은 정상 분만 여성에 비해 심부정맥혈전 위험을 나타내는 D-dimer 정량검사에서 혈액 응고가 훨씬 크게 활성화된다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이는 제왕절개 분만에 이르게 한 그 어떤 요인이나 제왕절개 자체가 가져온 결과일 것으로 블론돈 박사는 추정했습니다.

산부인과와 관련이 없는 수술 후에도 정맥혈전 위험이 커질 수 있는데 제왕절개도 이와 유사한 경우로 봐야 할 것이라고 그는 지적했습니다.

또 제왕절개 분만은 정상 분만의 경우보다 분만 후 신체의 운동성 회복이 지연되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이처럼 제왕절개 분만 여성은 산후 정맥혈전 위험이 큰데도 정맥혈전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지는 비율은 25%로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나마 압박 스타킹 처방이 대부분이고 항혈전제 헤파린 투여는 3%에 불과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흉부 의사협회 학술지 '흉부'(Chest) 최신호에 발표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