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금융노조 내일 총파업…은행들 영업 차질 대비 분주

금융노조 내일 총파업…은행들 영업 차질 대비 분주
금융노조의 총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은행권에 긴장이 감돌고 있습니다.

정부가 파업 자제를 촉구하고 나선 가운데 은행 사측은 노조의 파업 동력 수준을 가늠하느라 온종일 분주했고, 노조는 파업 참여를 확대하는 데 열을 올렸습니다.

은행권에선 사측은 3만~4만 명 정도가 파업에 나설 것으로, 금융노조는 9만 명 안팎의 인파가 모일 것으로 각각 추산하고 있습니다.

은행들은 시나리오별로 마련한 '컨틴전시 플랜'을 가동, 오늘(22일) 영업점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방침입니다.

은행들은 본점 인력의 영업점 활용, 경력자 임시 채용, 거점점포 활용 등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내일 상황을 봐야겠지만 단계별로 비상대응 체제를 구축했기에 영업점 운영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약 2만 명에 이르는 국민은행원 가운데 노조원은 1만 4천~1만 5천 명 수준이 사측은 파업 참여자가 전체의 10%인 2천 명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전체 직원의 60% 안팎이 노조원인 우리은행은 파업 참여율 50% 이하, 50% 초과∼70% 이하, 70% 초과 등 3가지 시나리오를 마련해 파업에 대응하고 있다.

은행 매각을 앞두고 있어 참여율이 높지 않을 것으로 사측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신한은행은 노조원의 파업 참여율을 10% 미만, 40% 미만, 40% 이상 등 3단계로 나눠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했습니다.

만약 40% 이상이면 비상대책 본부를 운영, 거점점포 중심으로 운영체계를 전환할 예정입니다.

신한은행 사측은 파업 참여자가 전체의 10% 미만인 1천400명 정도에 불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KEB하나은행은 정상 업무, 여·수신 필수업무, 거점점포 운영 등의 계획을 수립,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는 입장입니다.

시중은행보다는 기업은행과 농협은행 등 특수 은행이 파업에 적극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은행권 사측은 이처럼 파업 당일 정상영업을 추진하는 한편, 노조에 파업 철회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금융노조는 조합원들에게 투쟁 명령을 발동하고,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검찰에 고소하는 등 파업 열기에 마지막 불을 지피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