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댐에서 식수 공급 경남도 계획은 '낙동강 포기' 정책"

경남 환경단체, 도 식수원 계획 백지화 촉구

"댐에서 식수 공급 경남도 계획은 '낙동강 포기' 정책"
경남 환경단체가 도민 식수원을 낙동강에서 댐으로 이전하겠다는 경남도의 식수원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환경단체 '낙동강 경남네트워크'와 '지리산 댐 백지화 대책위'는 19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댐 건설이 아닌 낙동강 수질개선이 올바른 식수원 대책이라 주장했다.

이들은 "합천 조정지댐은 황강 홍수와 가뭄 관리를 위한 목적이 크다"며 "이곳에서 일일 50만t을 취수하면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고 합천 군민 식수까지 부족하게 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댐 물도 처음엔 1급수를 유지할 수 있으나 해를 거듭해 비점오염원이 누적되면 수질이 나빠진다"며 "청주시 식수원인 대청댐은 올 7월 조류경보가 발령돼 수돗물에 활성탄을 투입하는 등 정수 처리를 한 예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함양 문정댐도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대안이라며 낙동강 수질을 개선해 식수원으로 사용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문정댐은 2012년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타당성 조사 결과 '경제성 없음'으로 이미 판명났다"며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치적 쌓기에 도 행정력이 무의미하게 동원되는 것에 불과하다"고 규탄했다.

이어 "식수원을 낙동강에서 댐 물로 변경하는 것은 낙동강을 포기하겠다는 말이나 마찬가지"라며 "수량이 풍부한 본류 강을 포기하면 가뭄이 발생했을 시 식수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도는 지난 9일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낙동강 물 대신 댐으로 식수원을 변경하는 계획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1단계로 낙동강 물을 원수로 사용하는 창원·김해·양산·함안 등 4개 시·군 170만 명의 도민에게 1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합천 조정지댐을 활용하고 중소규모 댐을 건설하기로 했다.

2단계로 함양 문정댐(일명 지리산댐) 건설 등으로 여유 수량이 생기면 부산·울산에도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도는 국토부에서 추진하는 댐 희망지 공모사업과 연계해 소규모 댐을 건설하고 정부에서 홍수조절용 댐으로 검토하는 문정댐 건설도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