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연17회 고장·가동정지' 성남시 소각장 수명 또 연장

교체 시기 놓쳐 2021년까지 가동…"유지관리비만 40억"

경기도 성남시 쓰레기소각장이 노후화로 잦은 고장을 일으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9일 성남시에 따르면 하루 처리용량 600t 규모의 중원구 상대원동 쓰레기소각장은 분당신도시 건설에 맞춰 1998년 10월 가동을 시작했다.

애초 설계 당시 내구연한이 12년 이어서 2010년 수명이 끝났으나 2012년 9월 한국환경공단의 기술진단 용역 결과, 단계별로 보수하면 5년 더 사용할 수 있다는 판정을 받았다.

이후 시는 올해까지 단계별로 시설 보수를 해왔으며 앞으로도 5년 뒤인 2021년까지 가동을 연장할 계획이다.

그러나 성남환경운동연합이 시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7월까지 1년간 소각장 긴급정지 횟수가 17회에 이른다.

매달 1.4회꼴로 고장으로 가동이 멈추는 셈이다.

고장 사유는 노후로 인한 폐열보일러 누수가 대부분이다.

폐열보일러는 소각열에서 발생하는 스팀으로 열을 생산해 지역난방용으로 판매하는 데 필요한 설비다.

소각장은 한 번 가동이 멈추면 재가동될 때까지 짧게는 하루, 길게는 7일까지 걸렸다.

유지관리 비용도 매년 40억원으로, 2014년 판매한 폐열(21만g㎈) 판매수익 41억원과 맞먹는다.

잦은 고장으로 보수 비용 이외에도 유해물질 배출, 쓰레기 장기 적체로 인한 악취 등 환경오염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것이 성남환경운동연합의 지적이다.

시는 2013년 '기계식과 생물학적 방식을 결합한 전처리시설(MBT)+고형연료(RBF) 발전' 방식으로 대체시설 건립을 추진하다가 중단하면서 시설 현대화 시기를 놓쳤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시는 "2013년부터 지속해서 생활폐기물 처리에 문제가 없게 시설 보수를 해오면서 신규시설 건립을 위한 국비 지원을 협의해왔으나 어렵게 됐다"며 "올해부터 국비 지원이 가능한 다른 방식을 검토해 2021년까지 대체시설 건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남환경운동연합 김현정 사무차장은 "2021년이면 최초 설계 내구연한 12년보다 11년을 더 사용하는 것"이라며 "에너지 기본계획과 연계한 종합적인 검토를 거쳐 혐오시설이 아닌 환경에너지시설로 만들어야 한다"고 조속한 최신 대체시설 건립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