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민안전처 엉터리 재난 문자…또 '부실 대응'

<앵커>

이름 그대로 국민들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국민안전처의 대처는 이번 지진발생상황에서도 매우 부실했습니다. 우선 가장 먼저 해야할 재난문자 발송은 지진이 발생한 지 무려 9분이 지나서, 그것도 일부 국민들에게만
발송됐습니다.

김종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진은 서울까지도 영향을 미쳤지만,

[임동균/서울 시민 : 진동을 느꼈어요. 뉴스 보면서 대기하고 있었죠. 지진이 심해지면 집 밖으로 나가려고.]

겁에 질린 시민 대다수는 국민안전처의 긴급재난문자를 전혀 받아보지 못했습니다.

[김동규/서울 시민 : (재난문자 받으셨어요?) 못 받았어요.]

[(재난문자) 그건 못 받았어요. (국민안전처가) 당연히 보내야 했다고 생각하는데.]

지진 당시 국민 안전처가 재난문자를 발송한 지역은 진앙 반경 120킬로미터에 속하는 부산, 대구, 충북 등 일부 지역뿐, 그것도 지진 발생 9분이 지나서야 뒷북 재난문자를 발송했습니다.

[이연/선문대학교 교수 : 지진 같은 경우는 5분 지나면 거의 상황이 종료돼요. 그래서 8분 이상 지나서 문자 발송을 했다는 것은 효과가 전혀 없는 거죠.]

이런 엉터리 재난문자는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지난 7월 울산 앞바다에서 진도 5.0의 지진이 발생했을 당시 국민안전처는 울산 4개 구 등 극히 일부 지역에만, 지진발생 17분이나 지나서, 심지어 지진 발생 날짜조차 틀리게 표기를 한 긴급문자를 발송해 비판을 받았습니다.

당시 재발 방지를 약속했던 국민안전처, 하지만 이번에도 바뀐 건 없었습니다.

안전처는 진앙지를 분석하고 문자를 보낼 지역을 선별하느라 시간이 걸렸다고 해명했습니다. 또, 실제로 지진을 느끼지 못하는 시민에게까지 문잘 보낼 경우 또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전국적으로는 발송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국민 대부분이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역대 최강의 지진이었고, 따라서 지진 정보가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