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진 재난방송 50% '불통'·휴대전화 '먹통'

시민은 행동요령 몰라 우왕좌왕…울산시, 대책 마련 나서

지진 재난방송은 50% 이상 들리지 않았고, 통신기능 장애로 휴대전화가 불통인 상황에서 시민 행동요령 전파가 미흡했다.

울산시가 13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12일 경주 지진의 상황 대응에서 이런 문제점이 드러났다며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에서는 12일 오후 7시 44분과 8시 32분 각각 규모 5.1, 규모 5.8의 지진이 일어났다.

진앙은 경주 남남서쪽 9㎞와 8㎞ 부근이다.

경주는 울산의 북쪽과 접경지역이어서 울산 시민이 느끼는 지진동은 경주와 거의 비슷했다.

울산시는 대책회의에서 지진이 나자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지진이 난 오후 7시 54분부터 8시 41분까지 경보방송 4회, 기상청 문자발신 2회, 국민안전처 문자발신 3회 등의 조처를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많은 시민이 경보방송을 듣지 못하고 기상청과 국민안전처의 문자도 받지 못했다.

경보방송 시설은 울산 전역을 관리하기에 부족하고 통신기능에 장애가 생기면서 휴대전화가 불통됐다.

울산시가 관리하는 경보방송 스피커는 시청과 구·군 옥상, 읍면동사무소 및 관공서가 관리하는 시설물의 옥상 등 총 59개소에 불과하다.

울산이 서울 면적의 1.7배가 넘는 상황이어서 이 시설로는 시민 전체가 경보방송을 듣기에는 미흡하다.

울산시도 재난방송 불가청 지역이 50% 정도로 전파 수단이 부족했다고 인정했다.

또 지진 발생 초기 휴대전화가 불통돼 '골든타임'에 상황 전파와 피해 보고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문자가 오더라도 지진 발생 시 개인행동 요령 등을 안내하지 않고 지진 규모와 지진 발생 여부만 알리는 내용이 전부였다.

이 때문에 남구와 북구 등 아파트 밀집지역에서는 입주민은 물론 이들을 안전장소로 안내해야 할 경비원들조차 어디로 대피할지 몰라 우왕좌왕하며 뛰어다니는 모습이 곳곳에서 목격됐다.

시민 개인이 지진 행동요령을 숙지해 운동장이나 공원 등 안전지대로 대피하는 훈련이 되지 않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고리와 월성원전, 석유화학시설 등 위험시설의 중심지인 울산에 지진 관련 전문직 공무원이 없고, 지진가속도계측기를 활용한 자체 지진 규모 분석을 하지 못하는 것도 문제로 나타났다.

시는 지진 전문직 공무원 2명을 채용하고 지진가속도계측기를 지자체가 분석할 수 있도록 국민안전처에 요청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또 현재 44%인 공공시설물 내진 설계율을 2025년까지 10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당초 계획은 2040년 이후에 내진 보강을 완료하기로 했다.

민간 건축물의 내진 보강을 독려하기 위해 취득세와 재산세 감면을 추진하고, 건축물관리대장에 내진 보강 여부 표시를 의무화하도록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