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육상, 줄줄이 탈락·실격…세계 높은 벽 실감

15명 출전에도 결선 진출자 1명 없어…日·中과 더 벌어진 격차

한국 육상은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세계와 격차만 확인했다.

리우올림픽에는 한국 육상 선수 총 15명이 출전했다.

관심은 한국 육상이 최초로 마라톤 이외 종목에서 메달을 딸 수 있을지였다.

한국 마라톤은 역대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1992년 바르셀로나), 은메달 1개(1996년 애틀랜타)를 수확했다.

일제강점기인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획득한 금메달(손기정)과 동메달(남승룡)도 마라톤에서 나왔다.

하지만 결국 리우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금메달(47개)이 걸린 육상에서 한국은 단 한 개의 메달도 얻지 못했다.

15명 중 가장 먼저 경기를 치른 선수는 경보의 김현섭(31·삼성전자), 최병광(25·삼성전자), 변영준(32·창원시청)이었다.

셋은 13일(이하 한국시간) 남자 경보 20㎞에 출전해 17위, 57위, 61위를 차지했다.

김현섭은 '체력 비축'을 염두에 두고 뛰었다.

19일 50㎞ 경보에 나서기 때문이다.

50㎞에서는 메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그는 50㎞ 경보에서 오른쪽 허벅지 통증에 시달리다 43㎞ 지점에서 기권하고 말았다.

함께 나선 박칠성(34·삼성전자)은 경고 누적으로 실격당해 경기를 마치지 못했다.

13일에는 김덕현(31·광주광역시청)이 남자 멀리뛰기 예선에 출격했다.

한국 육상에서 처음 멀리뛰기와 세단뛰기에서 동시에 올림픽 진출권을 따낸 김덕현은 멀리뛰기에서 결선 진출 이상의 성적을 노렸다.

하지만 너무 부진했다.

김덕현은 남자 멀리뛰기 예선에서 7m82의 기록으로 14위에 그쳐 결선행 티켓을 손에 넣지 못했다.

세단뛰기에서도 결선행에 실패했다.

그는 15일 남자 세단뛰기 예선에서 16m36을 뛰어 48명 중 27위로 처졌다.

'한국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 김국영(25·광주광역시청)도 좌절을 맛봤다.

한국 기록(10초16) 보유자인 김국영은 14일 100m 예선에서 10초37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이날 경기에 나선 70명 중에는 공동 51위다.

준결승 진출 티켓을 얻지 못한 것은 물론, 목표로 삼았던 한국 신기록 수립도 실패했다.

안슬기(24·SH공사), 임경희(34·구미시청)는 14일 여자 마라톤에서 각각 42위(2시간36분50초), 70위(2시간43분31초)에 머물렀다.

남자 마라톤의 손명준(22·삼성전자), 심종섭(25·한국전력)은 대회 폐막일 각각 131위(2시간36분21초), 138위(2시간42분42초)라는 더 암담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남자 높이뛰기 윤승현(22·한국체대)과 우상혁(20·서천군청)은 부푼 가슴을 안고 올림픽 무대에 섰다.

한국 남자 높이뛰기 선수가 올림픽 무대를 밟은 건 2000년 시드니올림픽 이진택 이후 16년 만이다.

하지만 15일 예선에서 우상혁은 A조 11위(2m26), 윤승현은 B조 21위(2m17)로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여자 20㎞ 경보에 나선 전영은(28·부천시청), 이정은(22·부천시청), 이다슬(20·경기도청)도 세계의 벽을 넘지 못했다.

전영은은 20일 여자 20㎞ 경기에서 39위(1시간36분31초)에 올랐다.

함께 출전한 이정은(22·부천시청)과 이다슬(20·경기도청)은 3차례 경고를 받아 8㎞ 지점에서 실격당했다.

단 1명의 결선 진출자를 배출하지 못한 한국 육상은 큰 숙제를 안고 귀국 여객기에 몸을 실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