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법무장관·검찰총장 거듭 사과에도…책임론 확산

<앵커>

검찰이 진경준 검사장이 뇌물로 벌어들인 재산을 모두 추징하고, 최고 수준의 징계를 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까지 거듭 사과했지만, 비판 여론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한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사상 초유의 검사장 구속 사태가 발생하자 김수남 검찰총장은 대검 간부를 모아놓고 사과와 함께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놨습니다.

김수남 검찰총장은 "국민에게 큰 실망과 분노를 안겨 드려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습니다.

현행법상 검사에 대한 최고 수준의 징계인 해임보다 더 무거운 파면 처분을 내릴 수 있도록 추진하고, 진 검사장이 뇌물로 벌어들인 재산을 모두 추징하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여기에 재발 방지를 위해 검찰 공무원의 주식투자를 금지하고, 비위 검사의 변호사 개업을 제한하는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김현웅 법무부 장관도 국회에 출석해 또다시 고개를 숙였습니다.

[김현웅/법무부 장관 : 검사에 대한 인사 검증 및 감찰 시스템 전반을 면밀하게 점검하고 이를 획기적으로 강화하여,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법무부와 검찰 수장의 연이은 사과에도 불구하고 검찰 안팎의 자성과 비판의 목소리는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사건 초기 "개인의 주식거래일 뿐"이라며 미온적 대응으로 일관한 법무부와 진 검사장의 비위 행위를 적발하지 못하고 승진까지 시켜준 검찰과 청와대의 인사 검증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점점 더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