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장애인 차량 불러도 안오더니…교통약자센터 운전원 미터기 조작

광주시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운전원의 얌체짓이 자체 감사에 적발됐다.

장애인 보행권을 돕기 위해 설립·운영중이지만 계기를 조작해가며 업무를 기피한 정황이 드러났다.

특히 운전원의 고의적 근무태만은 장애인의 불편으로 직결되는 만큼 광주시의 관리 감독 강화와 재발 방지책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6일 광주시에 따르면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교통센터) 운전원 102명 중 25명이 미터기를 임의대로 조작해 업무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

이는 교통센터가 내부자 제보 등을 토대로 최근 3개월간 주중 평균 운행건수에 미치지 못한 25% 가량을 전수조사한 결과 드러났다.

가령 장애인을 목적지까지 태운 뒤 관제센터로부터 다음 운행 지시 등을 받는 것이 정상적이지만 상당수가 고의로 미터기를 주행으로 표시, 배차에서 빠졌다.

이들 운전원은 차량에서 쉬거나 개인 일을 보는 등 운전원 역할을 망각했다.

이러다보니 장애인이 차량을 불러놓고도 2∼3시간 기다리는 등 큰 불편을 겪었다.

교통센터는 현재 업무를 고의로 기피한 운전원을 대상으로 확인 작업을 하고 있으며 전체 운전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교통센터가 이 같은 사실을 알고도 확인을 이유로 후속조치를 미루고 있어 '적당히 덮어두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수십억원의 예산을 지원하는 광주시는 지난해 단 한차례만 형식적인 지도점검을 하는 등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교통센터는 2008년 설립돼 운영중에 있다.

올해 인건비와 운영비 등 77억원이 들어가는 등 지금까지 266억원이 지원됐다.

1·2급 장애인과 3급(지적·자폐성 장애인), 휠체어를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약자 등으로부터 일반택시 요금의 24% 수준의 요금을 받고 있다.

장애인 전용차량, 임차 택시 등 총 95대를 운용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등록장애인은 7천858명이며 모두 30만600여건을 이용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