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퇴근했는데 업무 지시…족쇄가 된 스마트폰

<앵커>

요즘 휴대용 스마트 기기가 퇴근 후에도 직장인들에게 족쇄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퇴근을 하긴 했는데 그렇다고 일에서 완전히 해방된 것도 아닌 어정쩡한 상황이 되는 건데, 실제로 일주일에 11시간을 더 일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주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첨단 기능에 간편한 휴대성을 갖춘 각종 스마트 기기들.

하지만 직장인에겐 '족쇄'가 되기도 합니다.

수시로 오는 상사의 업무지시, 근무시간이 끝났다고 해서 이를 피할 수는 없습니다.

[직장인 : 카톡 지시는 다반사고요. 메일작성이나 결제는 수시로 하고, 간단한 보고서도 급하게 스마트폰으로 작성해요.]

스마트 기기 탓에 직장인 70%가 퇴근 후에도 업무처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렇게 추가로 일하는 시간이 평일 하루 평균 1시간 26분.

한 주로 계산하면 11시간 17분에 달했습니다.

근무시간 경계가 애매하다 보니 이렇게 일했다고 해서 시간외수당을 요구하는 직장인은 거의 없습니다.

최저임금을 적용할 경우 한 달 27만 원가량의 보상이 날라가는 겁니다.

[김기선/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 : 지시에 따른 행위이기 때문에 근로시간에 포함돼야 하고, 초과근로 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근로자 복지에 관심이 많은 유럽에선, 퇴근 후 스마트 기기를 통한 업무를 금지하는 원칙을 노사가 단체협약에 명시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우리의 경우 늦은 시간 카톡을 금지하는 기업이 등장했지만, 여전히 크게 미흡한 실정입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 영상편집 : 오노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