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추진-무산' 우여곡절 10년…지역 갈등 단초

<앵커>

영남지역 신공항 건설 문제는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 이르기까지 10년 동안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습니다.

선거 때마다 정치인들이 경쟁적으로 공약으로 내 걸면서 지역갈등을 부추긴다는 비판도 적지 않았는데, 그간의 과정을 한주한 기자가 돌아보겠습니다.

<기자>

영남권 신공항에 대한 정부의 공식검토가 시작된 건 지난 2006년 말입니다.

영남지역 상공인들의 건의를 받았던 노무현 대통령이 검토를 지시한 겁니다.

이듬해 당시 이명박 후보가 대선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신공항에 대한 기대감은 한껏 커집니다.

2009년엔 국토연구원이 영남지역 35곳을 조사한 결과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이 유력한 후보지로 압축됐습니다.

이후 두 지역을 놓고 지역 정치인 간의 갈등이 깊어졌고, 급기야 2011년 3월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신공항 건설 계획은 백지화됐습니다.

[이명박 당시 대통령 (2011년 4월) : 신공항 공약을 지킬 수 없게 된 것에 대해서 저는 개인적으로 매우 안타깝고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

신공항 이슈는 그러나 이듬해 박근혜, 문재인 두 대선 후보가 공약으로 내걸면서 살아납니다.

2013년 8월엔 신공항을 추진할만한 항공 수요가 있다는 정부의 판단도 나옵니다.

[최정호 당시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2014년 8월) : 객관성을 확보하고 사회적 합의와 신뢰 아래 추진할 수 있도록 많이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심각한 지역갈등은 재추진 과정에서도 쉽게 잦아들지 않았습니다.

급기야 판단이 외국 기관에 맡겨졌는데, 용역 착수 1년여 만에 기존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으로 결론 났습니다.

(영상편집 : 위원양) 

▶ 영남권 신공항 건설 대신 김해공항 대폭 확장
▶ 적은 비용·부작용 최소화…최종 선택 이유
▶ 탈락한 밀양-가덕도…'안전·비용'이 걸림돌
▶ 부작용 고려해 전격 발표…남은 과제와 쟁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