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한 우울증을 겪게 되면 극단적인 선택으로 자살까지 시도하는 경우가 있다.
그동안 의료계는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인가'라는 의구심을 가졌지만, 뚜렷한 원인을 규명하진 못했었다.
최근 국내외 연구진이 공동으로 우울증이 자살까지 이어지게 하는 뇌 속 기능 저하 부위를 찾아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홍진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고려대학교, 하버드의대와 팀과 함께 자살할 생각을 하는 우울증 환자와 그렇지 않은 우울증 환자의 '뇌 영상 및 뇌 유래 신경영양인자'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 환자의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뇌 속 주요 원인을 밝혀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우울증은 전체적인 뇌 기능을 저하하는데 특히 전두엽과 변연계의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주로 전두엽은 판단, 사고, 계획, 억제 등의 기능을 한다.
뇌 깊은 안쪽에 있는 변연계는 인간의 기본적인 본능을 비롯해 충동, 수면, 섭식, 기억을 관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우울증이 오면 전두엽 기능이 떨어져 기분이 우울해지면서 삶의 의욕과 집중력이 떨어지게 된다.
변연계 기능 저하 역시 불면증, 식욕저하, 감정 기복 등을 유발해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방해한다.
연구진은 우울증 환자에게 자살 생각이 발생하면 변연계가 흥분된다는 사실을 자기공명촬영(MRI)을 통해 밝혀냈다.
전홍진 교수는 "특히 변연계는 분노, 화, 불안 등 부정적인 증상이 있을 때 흥분되며, 과거에 겪은 트라우마가 떠올라도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변연계가 흥분했을 때 우울증 환자의 경우 이를 적절히 조절해야 하는 전두엽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선택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전두엽과 변연계 간의 연결기능이 줄어들수록 자살 생각이 더 증가한다는 사실까지 확인됐다.
전 교수는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 알코올, 약물 오남용, 분노, 화병 등으로도 충분히 우울증이 발생하고, 자살 생각이 들 수 있는 만큼 평소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우울증 환자의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질환을 조기에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선별해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정신의학회지(Translational Psychiatry)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사진=게티이미지/이매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