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유료 방송 반대 여론전에 휘둘리는 중간광고"

<앵커>

갈수록 깊어지는 지상파 방송사들의 재정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지상파에도 중간광고가 도입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하지만 종편을 비롯한 유료방송들의 반대 여론전에 이런 논의들이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윤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2011년 종편의 출범과 인터넷과 모바일 등 다매체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지상파의 광고매출은 타격을 입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유료 방송에는 허용하고 지상파는 금지하는 비대칭 규제 정책으로 지상파의 위기는 갈수록 깊어졌습니다.

올해 1분기 광고 매출은 지상파 3사가 모두 두 자릿수 비율로 감소한 반면, 종편과 CJ계열의 유료방송은 크게 늘었습니다.

오늘(17일) 열린 한국언론정보학회 세미나에선 정부가 여론전에 밀려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을 외면하고 있다고 의견이 나왔습니다.

[박상호 박사/공공미디어연구소 : 가장 중요한 테마가 중간광고에 대한 정책적인 판단인데 그런 부분들이 종편의 여론전에 밀려서 결국은 방통위가 정책 수행을 포기한 상황이 된 거죠.]

지상파만 중간광고를 못하게 하는 정책은 지상파의 권리를 지나치게 침해해 위헌에 해당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윤성옥/경기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 지상파 방송의 중간광고 금지는 달성되는 공익은 불분명한데, 지상파 방송의 재원을 대단히 취약하게 함으로써 오히려 공적책무를 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봅니다.]
 
참석자들은  내년 대선을 앞두고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을 논의할 경우 정치적인 논란이 될 수 있는 만큼 올해 안에 서둘러 논의를 마무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 영상편집 : 김진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