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희소성 떨어져 가는 테마파크…맞춤식 대안 필요

<앵커>

그런데 아시아 세번째 디즈니랜드의 입지가 중국 상하이로 결정되기 전에 서울시도 유치에 나섰지만 실패했습니다.

국내 다른 도시들도 유명 테마파크를 유치하려고 했지만 번번이 무산됐는데 무슨 문제가 있는 건지 장세만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기자>

인터넷몰에서 쉽게 테마파크 할인 티켓을 구할 수 있다 보니 제값을 주고 티켓을 사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오성미/테마파크 이용객 : 체크카드로 50% 할인받아서 샀어요. 요즘 놀이동산 누가 정가로 내고 들어가요?]

이런 가격 경쟁으로 수익성이 떨어져 재투자 여력이 없다 보니 어딜 가나 비슷한 시설이 태반입니다.

이런 데도 10여 년 전부터 지자체마다 해외 유명 테마파크 유치를 공약사업으로 내걸고 뛰어들었습니다.

파라마운트와 엠지엠에 이어 각종 테마파크 사업이 줄줄이 무산됐습니다.

국내 시장이 협소한 데다 땅값이 비싸다 보니 사업성이 낮다는 게 대표적 이유로 지적됐습니다.

[최원철/한양대 부동산융합대 교수 : 통상적으로 테마파크는 인구 3천만 명당 하나 정도가 적당하다고 하거든요.]

투자자 대부분이 제대로 된 테마파크를 해보겠다는 의지를 갖기보다는 부동산 투자 기회로 여기는 풍토가 특히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게다가 일본과 홍콩, 싱가포르에 이어 중국에까지 초대형 테마파크가 잇따라 들어서 희소성도 떨어졌습니다.

한류와 연계된 특화 시설이나 국제회의 시설과 연계된 복합 리조트 등 우리만의 맞춤식 대안을 찾아야 할 때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