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달라진 中 시진핑 태도…미소에 담긴 속내는

<앵커>

북한의 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일행이 2박 3일간의 중국 방문을 마치고 평양으로 돌아갔습니다. 이번에 무엇보다 관심을 끈 것은 북한 대표단을 대하는 중국의 태도였습니다. 먼저 3년 전 김정은의 특사로 온 최룡해를 만났을 때 시진핑 주석의 표정은 이랬습니다. 내내 굳어 있었고, 불편한 기색이 역력하죠? 하지만 이번엔 아주 달랐습니다. 리수용을 맞는 시 주석이 만면에 미소를 띠고 있습니다.

이 두 장의 사진에서 보이는 시 주석의 표정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베이징 임상범 특파원이 분석했습니다.

<기자>

중국 도착 때부터 평양으로 돌아갈 때까지, 중국은 리수용 부위원장 일행을 최고의 의전으로 예우했습니다.

인민일보는 시진핑 주석과 리수용의 면담 소식을 사진과 함께 1면에 올렸습니다.

환구시보는 "북-중간 정상적인 우호관계 유지는 북핵 해결과 동북아 평화 수호에 긍정적인 자산" 이라고 썼습니다.

북한의 조선 중앙 통신은 "리수용 부위원장이 시진핑 주석에게 '핵-경제 병진 노선을 변함없이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시 주석은 중국의 기존 입장인 '한반도 비핵화'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면담에서 북핵 문제에 대한 이견을 좁혔을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 보입니다.

다만 껄끄러운 북핵 문제는 나중으로 돌리고 당장 북-중 관계 개선의 물꼬부터 트고 보자는 데에는 이해가 일치한 걸로 관측됩니다.

미국이 주도하는 대북 제재 국면에서 중국은 줄곧 수세적인 위치에 몰려왔습니다.

특히 미국이 과거의 적이었던 베트남과도 군사 협력에 나서며 중국을 압박해왔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이 북한 카드로 맞불을 놓았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북한에 대한 시진핑 주석의 태도 변화는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북-중 관계가 완전히 복원됐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결국 중국의 인정을 받으려는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이 성사될지에 북-중 관계도 달려 있습니다. 

▶ 美, 北 '자금 세탁 우려국' 지정…돈줄 옥죈다
▶ 北-中 면담 직후 발표한 美…즉각 반발한 中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