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을 양주에 녹이거나, 초콜릿, 치약, 건전지에 넣는 것은 물론 인형 속에 숨겨서 몰래 들여오려던 일당이 잇달아 적발되는 등 마약 밀반입 수법이 갈수록 진화하고 있습니다.
광주지검 강력부는 지난 2일 필로폰을 양주에 녹여 몰래 반입하려 한 혐의로 A(68)씨 등 2명을 구속 기소했습니다.
A씨는 1천 명이 한꺼번에 투약할 수 있는 양의 액체상태 필로폰을 양주병에 넣어 회사원 B씨의 수화물로 위장해 김해공항으로 몰래 반입하려 한 혐의입니다.
지난 2월에는 중국 선양에서 필로폰 200g을 신발 깔창에 숨겨 들어오던 50대 남성이 검거되기도 했습니다.
신발은 검사하지 않으리라 생각한 이 남성은 인천공항에서 출발지, 연령대, 수화물 수 등을 분석해 선별 검사하는 '여행자 분석'에 덜미를 잡혔습니다.
3월에는 중국 단둥항에서 필로폰 606g을 보따리상을 통해 밀반입한 중국동포(28)가 붙잡혔습니다.
필로폰을 비닐에 싸 여행용 가방에 달린 플라스틱 손잡이 봉 안에 구겨 넣는 수법이었습니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가 최근 구속한 송모 (44)씨는 작년 1월과 11월 두 차례 필로폰 1㎏씩을 마닐라에서 구해 배낭 속 칸막이 사이에 넣고 그 입구를 꿰매 숨긴 뒤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들여오기도 했습니다.
또 서울 마포경찰서가 최근 검거한 중국동포 일당은 중국에서 사들인 필로폰을 소량씩 포장해 여성 신체의 은밀한 부위에 넣어 공항 보안검색대를 통과하는 수법을 썼습니다.
서울 금천경찰서가 최근 검거한 이모(28)씨 등 3명은 중국에서 액체 상태로 만든 필로폰을 화장품으로 속여 국내로 밀반입한 뒤 이를 다시 고체 상태로 가공해 유통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에서 산 대마초 20g을 초콜릿에 넣고 항공기 수화물로 위장해 국내로 밀반입하려던 박모(25)씨는 낱개로 포장된 초콜릿을 반으로 나누고 나서 비닐랩으로 포장한 대마초 1g을 초콜릿 안에 넣고 은박지로 재포장해 감시망을 뚫을 수 있었습니다.
운반책이 공항이나 항만을 거치지 않고 국제특송화물로 마약을 들여오는 사례도 잇달아 적발됐습니다.
인천에서는 태국인 성매매 여성 5명이 필로폰 18.38g을 국제특급우편으로 받으려다가 올해 2월 세관에 적발됐는데, 인천세관은 엑스레이 정밀 검색을 통해 토끼 봉제인형 몸통 안에서 필로폰을 찾아냈습니다.
대전지검 천안지청은 태국산 마약인 '야바'(YABA) 192정을 치약 튜브 속에 넣어 국제 택배로 몰래 들여온 혐의로 태국 국적의 이주노동자 A(30)씨 등 8명을 구속 기소했습니다.
수원지검 안산지청에 지난해 11월 구속된 권모(43)씨 등 3명은 2천200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의 필로폰을 건전지 용기 안에 넣어 국제특송화물로 밀반입했습니다.
손전등이나 망원경 등을 해외 직구하는 것처럼 속여 물품 안에 들어가는 건전지 속에 마약을 숨겼는데, 검찰은 권씨 집에 있던 손전등 17개가 모두 작동하지 않은 점을 수상하게 여기면서 밀반입을 잡아낼 수 있었습니다.
지난해 4월 2일 중국 상하이에서 비행기를 타고 대구국제공항으로 입국한 G(35·회사원)씨가 세관 문형탐지기를 통과한 뒤 다른 여행자들과 함께 대기하던 중 대마초 냄새를 탐지한 마약탐지견에게 걸렸습니다.
G씨는 대마초 2.27g과 4.2g을 각각 비닐로 싸 속옷 안에 숨기고 들어오다 적발될까 두려워 이를 삼켰다고 진술했습니다.
서울에 사는 임모(30)씨는 지난해 4월 인터넷 블로그 게시판에 마약의 일종인 대마를 판매한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임씨는 수사기관의 추적을 피하려고 외국에 서버가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채팅앱으로 마약 구매자와 정보를 주고받았고 자금 추적이 어려운 온라인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을 거래대금으로 전송받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