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충전은 주유소처럼 일정한 지점에 현재 정부가 설치하고있는 충전소에서 30분이면 완전충전이 가능합니다. 그동안 무료였던 급속충전 요금은 지난4월11일부터 kWh당 313원씩 받고 있습니다.
급속충전기가 설치돼 있는 경기도 안성시청을 찾아가 봤습니다. 정문에서 꽤 떨어진 곳에 설치된 충전기는 얼마나 오랫동안 이용하는 사람이 없었는지 사람 손길이 닿을만한 곳곳마다 먼지를 뒤집어 썼습니다. 시청소유 공무용 전기차는 1대도 없고, 민원인들도 충전시설이 있는지조차 잘 몰랐습니다. 충전소 이용률이 당연히 떨어질수밖에 없겠다 싶었습니다. 이곳의 충전소 이용실적을 살펴보니 지난해 6개월간은 단 1회도 충전을 하지 않았고 나머지 6개월 기간에도 한 달에 10회 이상 충전을 한 것은 9월과 11월 두 달에 불과했습니다.
가장 적게 이용한 곳은 정부 중앙청사 별관과 본관, 울산시청에 설치된 충전기로 1년 중 딱 한 달만 사용했고, 나머지 11개월은 놀렸습니다.
반면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에 설치된 충전소 61개 중 51개소는 지난해 1년 동안 충전기를 이용하지 않은 달이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 나머지 10개소 중 9개소도 불과 1개월만 이용 실적이 없고, 이마트 포항점 충전소 1곳만 1월부터 4월까지 찾는 이가 없었습니다. 결국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곳의 충전소는 이용률이 높고, 그렇지 못한 관공서 등의 경우 현저히 사용실적이 낮았습니다. 게다가 충전소가 있지만, 공무용 전기차조차 없으니 이용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지역별로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전기차 구입 보조금 지급 여부 때문입니다. 전기차 구입보조금은 국비와 지방비를 더해서 지원되고 있는데 올해 국비의 경우 대당 1천2백만 원 수준이고 지방비는 1백50만 원에서 최대 9백만 원씩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해까지 지방비 보조금을 주지않는 자치단체도 인천,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전북 등 6곳입니다. 이들 자치단체에는 다른 지역에 비해 훨씬 전기차가 적습니다.
고속도로의 경우도 호남과 영동의 경우 각각 2개소에 불과합니다. 서해안 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의 경우 각각11개, 12개씩 설치돼 있지만 역시 이용률은 낮습니다. 그외 나머지 고속도로에는 충전기가 아예 설치돼 있지 않습니다.
온실가스 감축과 청정공기를 위한 전기차 보급 확대에 다른 소리 할 사람은 없겠지만 전기차를 몰고 불편 없이 다닐 수 있는 기반시설의 확충은 좀더 정교하게 다듬어져야 할 것입니다. 용역 결과를 받아 설치만 하지말고 점검과 후속 평가를 통한 보완이 필요합니다. 수요자 눈높이의 맞춤형 행정이 큰 공감을 불러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