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허울만 글로벌 사업…SKT 해외 자회사 11곳 적자

<앵커>

통신 재벌 SK텔레콤의 해외 자회사 11곳이 모두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소비자들에게 비싼 통신료로 챙긴 수익을 외국에 나가서 다 까먹고 있다는 비판이 거셉니다.

정호선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2월, SK텔레콤이 개최한 CJ헬로비전 인수관련 설명회, 합병하면 글로벌 사업자로 도약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형희/SK텔레콤 사업총괄 : 불확실한 경영환경과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목적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2001년 신세기통신과 2008년 하나로텔레콤을 인수하며 지배적 사업자로 떠오를 때도 같은 논리를 내세웠지만, 지금껏 해외 사업은 다 실패했습니다.

2001년 베트남에 진출한 S폰은 8년 만에 철수했고, 2005년 미국에 알뜰폰 합작사 힐리오를 세워 무려 6천억 원 가까이 투자했지만 역시 3년 만에 정리했습니다.

139억 원을 들여 인수한 중국 GPS 업체도 지난해 매각하고 손을 뗐습니다.

철수 안 한 사업도 적자투성입니다.

금감원 전자공시를 보면 지난해 SK텔레콤 차이나홀딩스, 아메리카 등 해외 계열사 11개 모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적자 규모만 871억 원에 달합니다.

[김회재/대신증권 기업분석부 팀장 : 당연히 네트워크에 대한 보유 없이 서비스만 개발했을 때 성공확률이 낮을 수밖에 없는 거죠. 성공사례가 많지 않다 보니까 노하우가 쌓이지 않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국내 소비자에게서 비싼 통신료로 얻은 수익을 해외에서 까먹고 있다는 비판이 거셉니다.

[박추환/영남대 경제학부 교수 : 글로벌 경쟁력은 현재 거의 없는 이제 허상 수준에 도달했고요. 투자했다 하더라도 적자를 보고 다시 철수하는 이런 상태가 됐다는 얘기는 국비 손실이라는 측면에서 굉장히 문제가 크고요.]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도 CJ헬로비전 인수로 SK텔레콤이 해외사업 역량을 키울 걸로 보이지 않는다"는 부정적 입장을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