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강하긴 한데…" 프로기사도 헷갈리는 알파고 실력

"강하긴 한데…" 프로기사도 헷갈리는 알파고 실력
"이세돌 9단을 이겼으니 강하긴 하죠. 그러니까 한국기원도 명예 9단을 줬을 텐데…."

'인간과 인공지능의 대결'로 전 세계의 관심이 집중된 이세돌 9단과 알파고(AlphaGo)의 대결은 '기계'의 승리로 끝났다.

알파고는 15일 끝난 '인간 최고수' 이세돌 9단과 5번기를 4승 1패로 마쳤다.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알파고지만 정작 바둑이 직업인 프로기사들의 평가는 어딘가 모르게 불명확하다.

5번의 대국을 면밀히 관찰한 박승철 7단은 "강하니까 이세돌 9단을 이겼을 것"이라면서도 알파고에 후한 점수를 주지는 않았다.

"보면 볼수록 갈피를 못 잡겠다"는 것이 이유다.

박승철 7단은 "잘 두는 것인지 잘 모르겠고 헷갈린다"며 "자기 계산대로 풀리지 않으면 자폭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고 했다.

1∼3국에서 승리를 거둔 알파고는 4국에서 이세돌이 던진 '전례 없던 수'에 당황한 듯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이상한 수를 두며 자멸했다.

조혜연 9단은 "알파고를 상대로 이세돌 9단 만큼 대국을 치를 프로기사가 많지 않다"고 알파고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인공지능의 약점도 꼬집었다.

그는 "정교한 수 읽기를 잘 못 한다. 의외"라면서 알파고가 이날 5국 중반 초입 우하귀 접전에서 한 실수를 거론하며 "사람 같으면 그런 잘못을 안 한다"고 지적했다.

양재호 한국기원 사무총장은 "전체적으로 계산력이 엄청나게 좋다 보니 쉽게 정리된 형태에서는 잘 두고 부분 전투에 강하다"고 치켜세우면서도 "넓은 공간에서 싸움이 복잡해지면 혼선을 일으키는 것 같다"는 평가도 함께 내놓았다.

알파고가 철저히 이기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은 분명하다.

알파고는 컴퓨터 1천202대가 연결된 최신 알고리즘 기술로 무장, 완벽한 수 읽기와 매 수 승률까지 계산하는 치밀함을 보여줬다.

대신 바둑기사라면 으레 있는 '기세'는 없다.

감정이 없는 기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다혜 4단은 "'여기서는 당연히 이렇게 두는 게 기세지'라는 관념이 있는데 알파고는 전혀 다르게 두더라"며 "인공지능이기 때문에 오로지 이기기 위한 최선의 수를 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