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혼자서 척척' 자율주행차…미래의 불가피한 선택

[취재파일] '혼자서 척척' 자율주행차…미래의 불가피한 선택
운전자 없이도 스스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자율주행차'라고 하죠. 유명 자동차 메이커를 비롯해 일부 외국 업체들의 자율주행차 기술은 이미 상용화 직전 단계에까지 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영화에서나 보던 스스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접할 날이 멀지 않았다는 얘깁니다.

자율주행차는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것이어서 수많은 첨단장비가 장착되기 때문에 차세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도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선진국들에 비해 좀 뒤처지긴 했지만 자율주행차 개발이 한창입니다. 국토교통부가 어제 현대차 제네시스 자율주행차에 국내 도로에서 시험운행을 할 수 있는 허가를 처음으로 내줬는데요, 국내 업체들의 자율주행차 개발도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에서 자율주행차 개발은 현대 외에도 일부 벤처기업들, 대학 연구기관 등 여러 곳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과 기관에서도 머지 않아 도로 시험운행에 나설 계획입니다. 시험운행은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일부 구간 등 총 6개 구간에서 진행되니까 혹시 지나다가 자율주행차 시험운행 장면을 목격하실 수도 있을 겁니다.

자율주행차 개발 경쟁에서 가장 앞선 곳은 IT 기업 구글입니다. 이미 6~7년 전부터 도로 시험운행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미 누적 거리가 330만KM에 이른다고 합니다. 구글은 이미 자율주행차 개발 1~5단계 가운데 최종 단계인 5단계 완전자율주행 직전까지 와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대략 2~3년 뒤면 일반도로는 몰라도 실버타운이나 관광지역 등에서 시속 30~40KM로 운행하는 저속 자율주행차는 상용화할 수 있을 걸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자율주행차 상용화까지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적지 않습니다. 아직 자율주행차와 관련한 규정이 전혀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먼저 사고가 발생했을 때 과연 누구에게 책임을 물을 것인가에서부터 논쟁이 뜨겁습니다. 현재 도로교통법 같은 자동차 관련 규정을 보면 교통사고 발생의 책임은 대부분 운전자에게 있습니다. 차량에 중대한 결함이 발생한 경우는 물론 예외가 적용되지만 일단 사고가 났다 하면 운전자가 주의 의무를 다했는지부터 따지게 됩니다.

하지만 자율주행 모드로 주행을 하다가 사고가 날 경우 얘기는 달라집니다. 자율주행 모드라는 것은 운전자의 관여 없이 차가 스스로 운전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때문에 운전자(탑승자)가 타고 있다고 해도 차가 운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고 발생시 사람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느냐는 게 논쟁의 핵심입니다. 만약 자율주행 모드에서 발생한 사고까지 차주에게 책임을 묻는다면 소비자들은 자율주행차를 신뢰하지 않을 것이고 구매할 이유도 없겠죠. 

또 하나 생각해볼 문제가 바로 윤리의 문제입니다. 자율주행차는 하나의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갑자기 보행자나 장애물이 나타났을 때 자율주행차가 어떻게 판단할 지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의해 이뤄집니다.
극단적인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시속 100KM로 달리던 자율주행차 앞에 갑자기 10명의 보행자가 나타났습니다. 조금 더 진행하면 보행자들을 치게 되고 급커브를 꺾으면 운전자가 다치게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운전자와 보행자 가운데 누구를 보호하도록 프로그래밍을 할 지, 또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면 운전자들은 어떤 모드를 선택해야 하는 건지 윤리적 딜레마에 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 이런 복잡한 상황판단을 기계에 맡길 수 있는 지도 아직은 의문이고요.

컴퓨터에 의해 움직이는 자율주행차는 해킹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스마트 기기들이 상용화되면서 해킹이 하나의 사회문제로까지 떠오른 상황인데, 자율주행차도 마찬가집니다. 마음만 먹으면 멀쩡히 잘가는 차를 해킹으로 오작동시켜 사고를 유발하거나 범죄에 악용할 우려도 있는 겁니다. 

기술적 한계도 여전합니다. 아무리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했다고 해도 폭설이나 폭우시, 신호등이 고장나 경찰관이 수신호를 하고 있는 경우 등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백, 수천가지의 돌발상황을 자동차가 모두 인식해서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때문에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더라도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완전자율주행, 그러니까 운전자의 개입이 전혀 없는 완전자율주행을 구현하는 데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자율주행차 시대를 맞기 위해 풀어야할 과제를 나열하다보니 너무 부정적인 단면만 부각한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자율주행차는 지금까지 없었던 생활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는 '혁명'에 가까운 일이기에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들인건 분명합니다. 
정부는 국내에서 2020년까지 운전자가 부분적으로 자율주행 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 부분 자율주행차의 상용화, 2030년까지 운전자의 개입을 최소화한 완전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발전하는 기술 만큼 자율주행차 관련 법규정과 각종 기준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합니다. 

▶ 자율주행차 '성큼'…사고 시 기준 마련 시급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