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연이은 발사 성공에 긴장…'ICBM 기술' 진전

<앵커>

국제 사회가 더 걱정하는건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연이어 성공하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에 한 발짝 더 나아갔다는 점입니다. 이번 발사에서 탑재한 위성의 무게를 늘리고 또 궤도에 올리는 기술에서 진전이 있었던 걸로 분석됩니다.

양만희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이 2012년 12월 발사에 성공한 로켓 은하 3호와 이번에 발사한 광명성호는 크기를 봤을 때 거의 같습니다.

사거리도 거의 비슷한 걸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장거리 로켓을 연달아 두 차례 성공시키면서 북한은 탄도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안정성을 확보한 것으로 보입니다.

[장영근/항공대 교수 : 추진 기술, 단 분리 기술 이런 것들의 완성도가 높아졌다는 얘기는 그것을 대륙간탄도미사일로 썼을 때도 그만큼 신뢰성이 높다.]

군은 이번 로켓이 사거리 1만 킬로미터 이상 탄도미사일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민구/국방부장관 : (재진입해서) 내려올 때 사거리까지 포함하면 5천500km 이상, 1만 km 이상, 그들이 목표하는 것이 그런 대륙간탄도미사일이기 때문에 그렇게 보고 있는 것입니다.]

국정원은 위성체의 무게가 100kg에서 두 배 가량 늘어나 무기급 탄두를 탑재할 능력도 좀 더 나아진 것으로 판단한다고 국회에 보고했습니다.

위성체를 궤도에 올리는 기술도 진전됐습니다.

2012년 쏘아올린 위성 광명성 3호는 지구에서 가까울 때와 멀 때의 차이가 90km를 넘는 타원형으로 돌고 있어서 위성으로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합니다.

이번에 올라간 광명성 4호는 차이가 6km밖에 나지 않아 원 궤도를 돌고 있다는 게 북한의 주장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