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플러스] '냉정한 외교와 국제 정치 현실 인식'…또 다른 견해

이처럼 한일 합의에 대한 내용과 절차의 한계를 짚은 취재파일들이 주를 이뤘는데요, 그런가 하면 우리도 냉정한 외교와 국제 정치 현실을 인식해야 한다는 취재파일과 칼럼도 있었습니다.

안정식 기자는 '우리가 바라는 일본과 현실의 일본'이란 취재파일을 통해 이런 의견을 담았습니다. 안 기자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일본이 과거 청산의 길로 가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바람인데 우리가 바라는 일본이 현실이 되는 날이 올 수 있을까? 기자는 이에 대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봤습니다.

일본의 우경화는 이제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됐다며, '현실의 일본'으로부터는 이번 합의 이상으로 우리가 원하는 수준의 합의가 나오기 어렵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과 마냥 소원한 채 갈 수 없는 것도 국제정치의 현실이라고 밝혔습니다.

윤춘호 기자는 '정부라는 차는 떠났다. 피해자는 내려놓은 채'라는 제목의 칼럼을 썼는데요, 윤 기자는 먼저 24년 넘게 끌어온 위안부 문제에 어떻게 두 정부가 합의할 수 있었는지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에 대해 "일본이 달라져서가 아니라, 우리 정부가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기자는 답을 내렸는데요, 우리 정부 입장에서 "위안부 이슈가 효용을 다했다"는 겁니다. 정부가 더 이상 일본을 압박하는 것이 정치, 외교적으로 득 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했을 거라는 겁니다.

정부가 과거사 문제를 매듭지을 때가 됐다고 판단한 건데, 이런 국가 간 교섭에서 개인감정과 처지는 고려될 여지가 없다는 게 국제정치 냉정한 현실이라는 겁니다.

그러면서 "정부라는 차는 위안부 대다수를 내려놓은 채 돌아오지 않겠다는 말만 남기고 떠났다"며 씁쓸한 현실을 비유했습니다.

이번 한일 합의에 대해 기자들은 조금씩 다른 견해를 내놓았지만, 위안부 문제 합의에서 정작 '위안부 목소리가 빠져 있었다'는 점에 대해선 모두 아쉬움을 드러냈습니다.

정부는 그제(5일) 한일 합의 이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는데요, 지금부터라도 위안부 피해자들을 적극 만나 의견을 구하고, 일본의 재발 방지 대책 등 미비한 점을 보완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이번 합의는 한국과 일본 정부가 서로 무언가를 주고받는 '협상'이 아니라, 일본이 한국의 피해자들에게 진심으로 사죄하고, 용서를 구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 [취재파일] '우리가 바라는 일본'과 '현실의 일본'
▶ [칼럼] 정부라는 車는 떠났다…피해자는 내려놓은 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