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환자·병원 모두 만족"…포괄간호서비스 도입 병원 급증

[취재파일] "환자·병원 모두 만족"…포괄간호서비스 도입 병원 급증
● “병원이 환자 도맡아 간병”…‘포괄간호서비스’ 도입병원 급증

가족 중에 입원 환자가 생기면 병원비보다 간병비가 더 걱정인 게 사실입니다. 병원비는 대부분 건강보험이 적용돼 환자 부담이 어느정도 경감되지만, 사설 간병인을 쓸 경우 하루 7~8만 원의 비용이 들다보니 한 달이면 2백만 원을 훌쩍 넘어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도입된 제도가 바로 ‘포괄간호서비스’입니다. 2013년 6월 첫 시범사업 시작 이후 2015년에 본 사업시 실시되기까지 참여 병원은 20여 곳 정도로 많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지방의 공공병원들이 대부분으로 민간병원의 호응이 크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사정이 달라졌습니다. 2015년말 기준 ‘포괄간호서비스’ 참여 병원이 109곳으로 지난해 대비 4배 가까이 급증한 겁니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됩니다. 먼저 보건당국이 포괄간호서비스 의료수가를 지난해 6월 35.9%나 인상해주면서 병원들이 간호사 고용과 병원 운영에 드는 비용 부담을 크게 줄였습니다. 6인실 기준 포괄간호병동 입원료는 기존 7만4천원 이었던 것을 10만원으로 인상해주면서 참여 병원이 급증한 겁니다. 때마침 메르스 사태까지 터져 보건당국과 병원들의 감염병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점도 조기 정착에 기여했다는 평가입니다. 건강보험공단 급여보장실의 김영 부장은 “가족이나 간병인이 환자 병실에 머물게 되면서 병원 감염률이 더 높은 것으로 실제 조사된 바 있다. 이런 병원 감염을 막기 위해 포괄간호서비스 도입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렇다면 포괄간호서비스를 도입한 병원과 환자의 만족도는 어떨까요? 환자 입장에서는 하루 8만 원에 달하던 간병비가 건보적용으로 1만 원으로 떨어져 비용 부담이 크게 줄었을 뿐만 아니라 환자 가족들도 병원 침상옆 간이침대에서 쪽잠을 자야하는 수고스러움을 덜었다는 점에서 환자가 그 가족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편입니다. 제가 취재 때 만난 환자들의 반응도 간호사와 조무사가 가족처럼 간병해준다며 흡족해했습니다.

병원 입장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2014년 11월부터 포괄간호병동을 운영한 군산의료원의 경우 참여 이후 환자수가 20~30% 늘었고, 그 결과 지난해 10억 정도 흑자를 냈습니다. 도입하기 전과 비교하면 30억 원정도 경영실적이 좋아진 겁니다. 김영진 군산의료원장은 “포괄간호서비스를 실시하기 이전에는 병실이 많이 비어있었는데, 현재는 병실이 모자라고 여수 등 다른 지역에서도 소문을 듣고 환자가 찾아온다”고 귀띔했습니다. 2014년 5월부터 모든 병동에 포괄간호서비스를 도입한 부천 세종병원도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아 대기환자가 늘고 있는 상태입니다.
● "환자·병원 모두 만족"…간호부담 줄여주고 인력수급 문제 풀어야

환자와 병원이 다 만족하는 포괄간호서비스이지만 현실적인 문제는 있습니다. 바로 간호인력의 부담이 크게 늘었다는 점입니다. 예전에 안하던 환자 목욕, 머리감기기, 기저귀 갈기, 식사 수발 등 간병일을 도맡아 하다보니 육체적, 정신적 피로와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환자와의 접촉이 늘어 친밀해진 결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부분의 간호인력은 어찌보면 환자 수발을 들어야하는 고생을 하게 된 겁니다.

제가 인터뷰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분들도 이런 비슷한 고충을 털어놨습니다. 세종병원 박찬금 간호본부장은 “현재 인력 배치 수준으로는 안전하고 정확한 간호 제공을 하는데 분명히 어려움이 있다. 정부와 간호협회 차원에서 다각도로 노력을 해야한다”며 간호인력의 충원이 절실하다는 의견을 피력했습니다. 실제로 6인실 기준 간호사 1명당 돌봐야하는 환자 수는 10명 안팎, 간호조무사의 경우 1명당 30명 안팎의 환자를 돌봐야 하는 게 현실입니다.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수발 강도가 달라지니 중증 환자가 많아지면 그만큼 더 일도 많아지는 겁니다.

또 다른 문제는 포괄간호서비스가 올해부터 서울지역으로 확대 시행된다는 점입니다. 물론 전면적인 시행이 아니라 간호인력 수급을 봐가며 일부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허가를 내준다는 게 보건당국의 방침이지만 서울로 확대될 경우 지방의 경우 간호인력 수급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습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우선 간호인력을 충분히 갖춘 병원에 한해 일부 허가해주고, 2018년부터는 상황을 봐가며 전면 허용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벌써부터 서울지역으로의 간호인력 쏠림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2백 병상 미만의 소규모 병원의 경우 2014년 간호사 이직률이 28.8%로 가장 높아 1천병상 이상의 대형병원의 2.8배에 달한다는 사실은 이런 우려를 뒷받침해줍니다.

처우 문제도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병원간호사회 자료에 따르면 병원 근무 간호사 초임연봉은 2백 병상 미만 병원의 경우 2천7백만 원 수준인 반면, 2천 병상 이상인 경우 3천7백~3천8백만 대로 1천만원 가량이나 차이가 납니다. 결국 서울로 포괄간호서비스가 전면 확대 실시된다면 지방의 우수 간호인력이 서울로 쏠릴 가능성은 불보듯 뻔하다는 얘기입니다.

환자와 병원 모두 만족하는 서비스인 포괄간호서비스가 정착 단계로 가려면 이런 간호인력의 수급문제부터 해결해야 합니다. 특히 지방 병원의 간호인력 확보와 처우개선은 단순히 병원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초기 대응을 잘못해 국가 재앙으로까지 불린 메르스 사태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충분한 간호인력 수급에 보건당국도 신경을 써야합니다. 그래야 가족과 사설 간병인이 수시로 드나드는 병문안 문화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많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한 게 사실입니다. 지금껏 잘 시행된 제도 정착을 위해 다시한번 보건당국과 병원들이 지혜를 모아야 할 때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