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막으면 만들고 막으면 만들고"…IS·트위터 '숨바꼭질'

소셜미디어·IT기업, 테러 관련 이용자 차단 '곤혹'

지난 2일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샌버너디노 총기 사건 이후 트위터에는 "캘리포니아, 우리가 이미 전사들과 함께 당도했다. 칼과 폭탄 중 어떤 걸로 최후를 맞을지 결정하라"는 메시지가 올라왔다.

'아사위티리 미디어'라는 이름의 친(親) 이슬람국가(IS) 단체가 만든 335번째 트위터 계정으로부터 나온 트윗이었다.

트위터 측은 테러 관련 계정을 발견하는 족족 삭제하고 있지만 이들은 곧장 새 계정을 만들어 수천 명의 팔로어들에게 메시지를 전파하고 있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단체의 99번째 계정이 차단됐을 때 이들은 '@IslamicState100'이라는 계정을 새로 만든 후 트위터를 비웃기라도 하는 듯 생일 케이크와 촛불, 불꽃놀이 이미지로 자축했다.

트위터를 비롯한 소셜미디어가 IS 등 테러단체의 '사이버 은거지'로 악용되는 사례가 늘면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권에서 업계의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게 녹록지 않다.

회사나 당국이 수많은 사용자의 모든 계정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기는 어려운 데다, IS가 주요 사용하는 암호화 서비스 중 상당수는 미국 회사가 만든 것이 아니어서 협조를 구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삭제해야할 콘텐츠를 가려내는 일도 간단하지 않다.

미국 인터넷 서비스 업체 클라우드플레어의 매튜 프린스 최고경영자(CEO)는 "한때 인터넷 활동가들이 우리 회사가 IS의 웹사이트를 유지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는데 알고보니 문제의 사이트는 (IS와 싸우는) 친(親) 쿠르드 성향의 사이트였다"고 말했다.

프린스는 "검증된 정책 전문가가 아닌 IT 기업들이 중동 정책에 개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트위터 등에 비해 사적인 콘텐츠가 더 많은 페이스북의 경우 더욱 곤란한 상황이다.

페이스북은 다른 사용자들이 테러 관련 계정을 발견해 신고하면 여기에 의존해 조치를 취해왔는데 최근에는 한 발짝 더 나아가 신고가 들어오기 전에 자체적으로 적발해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고 NYT는 전했다.

더 복잡한 문제는 애플, 페이스북, 구글 등과 다른 소규모 업체들이 제공하는 암호화 서비스다.

암호화된 메시지의 경우 법원의 명령이 있다해도 사법당국에 제공하기가 불가능하다.

이들 회사들은 그러나 암호화 기능을 약화하면 보통 사용자들이 사이버 범죄에 더욱 취약해지는 데다, 미국 업체들이 이 서비스를 중단해도 수많은 다른 외국 업체들이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항변하고 있다.

민간업체에게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권한을 주는 것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시민단체 전자국경재단의 데이비드 그린은 "사법당국이 그들의 책임을 민간기업에 위임해서는 안 된다"며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