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일대일 대화치료가 정신분열증 치료에 효과적"

일대일 대화 치료가 정신분열증(조현병) 증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현지시간) 미국정신의학저널에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발병 초기 2년 동안 항정신성 약물을 줄이고 일대일 대화 치료에 집중하면서 가족의 지원을 받은 정신분열증 환자가 일반적인 약물치료에 집중한 환자보다 크게 회복됐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이런 결과는 뉴욕 호프스트라 노스 쇼어 LIJ 의대 존 캐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21개 주에서 34개 커뮤니티 치료센터를 무작위로 선정, 404명의 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일반적인 약물치료와 상담과 약물치료를 함께 한 복합 치료를 수행한 결과, 밝혀졌다.

약물과 상담 치료를 병행한 그룹은 최대 50%까지 약물 투여량을 줄였다.

상담치료 프로그램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 학교나 직장에서 적절한 학급 배치 등 지원을 받도록 하고, 환자 가족들이 장애를 이해하도록 교육하며 사회적 관계를 맺는 수단과 환각·망상 같은 증상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는 일대일 대화 치료 과정이 포함됐다.

그 결과 복합 치료와 약물치료에 집중한 그룹 모두 2년간 증상이 점진적으로 개선됐다.

그러나 초반엔 결과가 별로 좋지 않던 복합치료 그룹은 치료기간이 끝날 때쯤에는 증상이 훨씬 완화됐고 상태도 좋아졌다.

약물 투여량은 20~50%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보고서는 조현증이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두려움이나 깊은 의혹을 느끼는 첫 번째 증상을 겪는데, 이때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치료 효과는 더 좋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많은 사람이 부적절하다고 여기는 약물치료에서 새로운 기준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했다고 NYT는 전했다.

윌리엄 카펜터 메릴랜드대 정신의학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높이 평가하면서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분명하게 보여줬다"고 말했다.

약물에 덜 의존적인 치료법을 지지해 온 매사추세츠 의대 메리 올슨 교수도 "이번 실험이 이런 훌륭한 결과를 낸 것은 놀랍다"고 평가했다.

미국에서는 200만 명 이상이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았으며, 이들 대부분은 환각이나 망상을 일으킬 수 있는 강력한 항정신성 약물을 처방받는다.

약물치료는 일부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지만 심각한 체중 증가나 극심한 졸음, 감정적인 동요 같은 부작용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번 연구는 미 의회에서 정신 건강 개선 법안이 논의되고 대규모 총격 사건에서 정신병이 미치는 영향과 치료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의 자금 지원을 받아 실시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