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원금 받고도 음압병상 '다인실'…기준 시급

<앵커>

메르스 사태 때 환자를 격리 치료하는 1인 음압병상이 부족해서 큰 어려움을 겪었죠. 알고 봤더니 2003년 사스 유행 이후 음압병상을 갖추도록 예산을 지원했었는데 돈만 쓰고 긴급상황엔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김경희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까지 메르스 환자가 입원했던 격리병동입니다.

[정은숙 수간호사/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동 : (음압병실은) 5인실이 3개이고, 1인실이 3개 있는데…. (감염병 환자가 오면 이 음압병실은?) 1인실 기준으로, 5인 병상이라도 1인 1실이죠.]

다른 환자에게 병을 옮길 가능성이 높은데도 음압병실이 5인실로 만들어져 있는 겁니다.

메르스 사태 때 중앙의료원은 이동식 장비를 동원해 1인 음압병실을 추가로 만들어야 했습니다.

[권용진/국립중앙의료원 기획조정실장 : 같은 질환의 감염병 환자라도 서로 전염을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모든 환자는 1인실에 격리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정부는 2003년 사스 유행 이후 신종 감염 병에 대비해 음압 병상을 매년 20개씩 확보하기로 하고 1병상당 2억 원씩 지원했습니다.

하지만 6년 동안 만들어진 음압병상 119개 가운데 1인 음압병실은 전체의 3분의 1에 불과했습니다.

예산은 1인실 기준으로 나갔지만, 구체적인 설치 기준이 없다 보니 병원들이 다인실로 더 많이 만든 겁니다.

[김용익/새정치연합 의원 (국회 보건복지위) : 다인용 음압병실은 1인용으로 개조하고 또 새로 짓는 병상은 모두 1인용으로 하도록  법령을 개정해야 할 것입니다.]

2020년까지 음압 병상 1,500개를 확보하겠다는 정부의 약속이 또다시 공염불이 되지 않으려면 분명한 기준과 관리가 필수입니다.

(영상취재 : 유동혁, 영상편집 : 우기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