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오작동 많다며…'자동 SOS' 장치 막은 해경

<앵커>

돌고래호 전복사고 소식입니다. 어제(8일)부터 저인망 어선으로 사고해역 바닥을 훑고 있지만, 수색작업에 진척이 없습니다. 그런데 해경에 부실한 대응이 또 하나 드러났습니다. 배에 이상이 생기면 자동으로 SOS신호를 보내는 장치를 아예 꺼놓은 겁니다.

김종원 기자입니다.

<기자>

돌고래호가 완전히 뒤집힐 때까지 배에선 SOS 신호 한 번 발신되지 않았습니다.

배마다 달려 있는 위치발신 장치, 일명 V-PASS라는 기계엔 갑작스레 배가 기울 경우 자동으로 SOS 신호를 보내는 기능이 있지만, 이 기능은 아예 차단이 돼 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해경이 오작동 사례가 너무 많다며 자동 신고 기능을 뺀 채 V-PASS를 배급했기 때문입니다.

[이평현/제주해양경비안전본부장 : 장비의 효율성이 문제가 될 정도로 많은 신호들이 들어오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자동 신고기능을)뺐습니다.]

자동 신고 기능만 작동했어도 해경 상황실에 실시간으로 경고음이 울리고 아까운 인명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지난 2년간 해경이 V-PASS를 배급하는데 들인 예산이 3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엉터리 장비에 예산을 낭비했단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어제 저녁부터는 실종자 수색 작업에 저인망 어선이 동원돼 물밑 수색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사고 해역에 강풍과 파도가 심하게 일면서 실종자 수색과 선박 인양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