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선수가 커브볼을 치기 어려운 이유는 뭘까? 뇌가 커브볼의 이동 경로 정보를 시야 정보보다 중요한 단서로 판단해 야구공의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입니다.
울산과학기술대학교(유니스트)는 권오상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곡선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를 뇌가 파악할 때 미리 계산한 이동 정보를 눈으로 들어온 정보보다 중요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뇌는 이동하는 물체의 순간적인 위치를 망막에 들어온 정보와 이 물체가 이동해온 경로를 통해 파악합니다.
이때 빠르거나 굴곡이 크게 움직이는 물체는 중심 시야가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못해 상대적으로 정교함이 낮은 주변 시야를 통해 파악하게 됩니다.
뇌는 주변 시야의 정교함이 낮을 때 시야 그 자체보다 움직이는 물체의 기존 경로나 회전 정도 등을 더 중요한 단서로 파악합니다.
즉, 커브볼이 들어올 때 뇌는 시야 정보보다 기존 공의 이동경로를 계산해 미리 정리한 정보를 우선해 공의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실제 공의 위치와 차이가 난다는 것입니다.
권 교수는 "내비게이션이 GPS 신호가 부정확하면 차가 지나온 경로에 더 많이 의존해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며 "이번 연구는 뇌가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이미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 판에 게재됐습니다.
(SBS 뉴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