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위스 경매에 나온 조선후기 칠성도 매입·환수

한국사회 혼란기인 1950~60년대 해외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후기 불화 3점이 스위스 경매에 나왔다가 매입 형태로 국내로 환수됐습니다.

문화재청 산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이들 불화 원래 소장처인 금정총림 범어사와 함께 어제 오전 스위스 취리히에서 진행된 한 옥션에서 조선 철종 12년인 1861년 제작된 뒤 범어사 극락암에 봉안되었다가 사라진 칠성도 3점을 7만 8천 500 스위스프랑, 우리 돈 9천400여만원에 낙찰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비단에 채색인 이들 칠성도는 이날 경매에서 가장 높은 낙찰가를 기록했습니다.

재단은 해외 경매시장에 출품된 한국문화재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스위스 취리히 소재 콜러 옥션에 출품된 문제의 칠성도를 발견하고 전문가에게 의뢰해 진위 감정을 실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칠성도 하단에 적힌 화기를 통해 불화 3점이 1861년 밀양 표충사에서 제작된 뒤 범어사 극락암으로 옮겨 봉안된 칠성도 11점 가운데 3점이란 사실을 확인했다고 재단은 덧붙였습니다.

불화 제작을 주도한 이는 선종(善宗)이라는 19세기 중·후반 경남과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승(畵僧)으로 밝혀졌습니다.

나아가 이 칠성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미국 로스앤젤레스카운티미술관(LACMA) 소장 칠성도 2점도 범어사 극락암에 함께 봉안된 11점 일부임이 확인했다고 재단은 밝혔습니다.

불교미술사학자인 문명대 동국대 명예교수는 이번에 낙찰받은 "칠성도가 조성연대와 제작처, 화승, 봉안처 등 조성유래를 확실히 알 수 있고, 짜임새 있는 구도와 단아하면서 건장한 불상의 형태, 칠성도의 중심인 치성광삼존도가 남아있는 점 등으로 볼 때 19세기 후반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사실을 통보받은 범어사는 금액에 상관없이 구입할 의사를 밝히고 이를 위한 도움을 재단에 요청했다고 재단은 전했습니다.

재단은 "국외로 유출된 시기와 이유를 특정할 수 없는 불교문화재를 해외 경매에서 매입을 통해 제자리로 되돌려놓는 문화재 환수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게 되었다"고 자평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