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정은, 당창건일 '인공위성' 발사준비 지시…ICBM 가능성"

"김정은, 당창건일 '인공위성' 발사준비 지시…ICBM 가능성"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올해 노동당 창건 70주년(10월10일)에 맞춰 장거리 미사일 실험으로 의심되는 '인공위성' 발사 준비를 지시했다고 교도통신이 여러 나라의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18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김 제1위원장은 올해 초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에 직접 발사 준비를 명령했습니다.

미국 외교소식통은 조선중앙통신이나 국가우주개발국의 발표로 드러난 "상황이 (발사 지시 정보와) 합치한다"고 견해를 밝혔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달 3일 김 제1위원장이 새로 완공된 국가우주개발국의 위성관제종합지휘소를 시찰했다고 보도했으며 국가우주개발국 대변인은 8일 "위성을 필요한 시기에 정해진 장소에서 계속 발사한다는 것은 우리의 불변의 입장"이라는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교도통신은 한국·미국·일본은 북한이 사실상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실험을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경계하고 있으며 발사를 저지하기 위해 관계국의 움직임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와 관련해 외교 소식통은 김 제1위원장이 최근 러시아 승전기념행사에 참석하지 않은 원인 중의 하나는 러시아 측이 북한에 핵실험이나 장거리탄도미사일 발사를 만류했기 때문일 것이라는 뜻을 내비쳤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북한은 2012년 12월 12일 위성운반로켓 은하 3호라며 장거리탄도미사일 대포동 2호 개량형을 발사했고 은하 3호가 예정대로 궤도에 진입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위성발사용 로켓과 핵탄두를 탑재하는 장거리탄도미사일은 비행제어 등 기술적인 측면이 같아서 북한의 위성 발사 목적은 사실상의 로켓 발사 실험으로 간주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는 '탄도미사일기술을 사용한 모든 발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2013년 말부터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 있는 서해 발사장 내 50m 높이의 발사대를 55m 이상으로 높이는 증축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것이 완공되면 은하 3호 로켓(길이 30m)보다 길이가 긴 40∼43m짜리 로켓도 발사할 수 있을 것으로 당국은 판단하고 있습니다. 

(SBS 뉴미디어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