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충무공전서 일제강점기 검열 피해 간행"

대전시 양승률 학예사 1795년 및 1934년 간행본 비교 분석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충무공 이순신의 문집 '이충무공전서'(이하 전서)가 일제 검열을 통해 삭제된 '왜추'(倭酋), '왜적'(倭賊) 같은 글자를 초서 등으로 숨기는 방법으로 발간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934년 충무공 후손인 이민복과 대전에 거주했던 서장석이 발간한 '전서'는 오탈자가 많고 일본 침략구절에서 임의로 가감이 됐다는 등의 이유로 그 가치가 폄하됐다.

양승률 대전시 학예연구사는 1795년(정조 19년) 처음 간행된 전서와 1934년 간행된 전서를 대조·교정한 결과 오탈자가 아니라 일제 출판 검열을 피하려고 삭제된 글자를 초서 등으로 숨기는 방법 등을 통해 발간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양 연구사에 따르면 전서는 1930년 발간될 계획이었으나 일제가 간행을 저지할 목적으로 주요 문구를 삭제하게 하는 등 노골적인 방해로 간행되지 못했고, 서장석을 비롯한 편집 인사들은 내용을 더욱 보완하고 일제 처분 내용을 반영하는 것처럼 해 4년 뒤인 1934년에야 간행했다.

일제는 출판 검열에서 전서 내용 가운데 '왜추'(倭酋), '왜적'(倭賊) 등과 같은 글자를 삭제하라는 처분을 내렸다는 것이다.

편집 인사들은 일제 검열에서 왜추와 왜적을 삭제하라는 처분에 왜추(倭酋)에서 '추'(酋)자와 왜적(倭賊)에서 '적'(賊)자를 삭제하되 삭제된 글자 바로 앞글자를 행서(行書)나 초서(草書)로 표기해 이들 글자가 생략된 사실을 독자가 읽는 중에 알아차리도록 했다.

이 같은 사실은 최근 일부 소장본에서 발견한 '注意'(주의)라고 적힌 별지(別紙)에서도 확인됐다고 양 연구사는 설명했다.

또 '소화'(昭和) 연도가 표기된 판권지를 뒤집어 놓은 것도 일제 몰락을 의도적으로 암시하는 것이라고 양 연구사는 주장했다.

그동안 전서는 단순히 판권지에 표현된 대로 서장석이 편집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양 연구사는 76인이 수록된 유사록(有司錄)을 분석하고 새로 발굴된 발문(跋文) 등을 통해 이민복과 서장석이 전서 발행을 주도했고, 이들은 통제사(統制使)를 3명씩 배출한 집안으로 사돈 집안의 인척인 사실을 밝혀냈다.

이민복이 정조 때 발간된 '이충무공전서'(14권)에다 2권을 속편으로 덧붙여 모두 16권으로 편집했고, 서장석이 편집 및 발간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는 것이다.

속편 2권 중 1권은 정조대 발간된 '이충무공전서' 이후 충무공 관련 기록을 모은 것이고, 또 다른 1권은 충무공과 생사고락을 함께한 동지들의 기록인 '동의록'(同義錄)이다.

양 연구사는 "민족이 어려운 시기에 전서를 펴낸 이들은 일제의 온갖 방해 공작과 고난 속에서도 불굴의 의지와 사명감을 가지고 끝내 전서를 발간했다"며 "당시 국민에게 충무공을 본받아 국난을 극복하고 민족적 긍지와 자존감, 독립의 의지를 북돋워 주려고 애썼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서의 편집 과정과 전서 교정 및 영인(影印) 내용을 담은 책을 펴낼 예정"이라며 "일제 검열로 삭제된 글자와 보충 교정한 글자를 복원해 이들이 처음 간행하고자 했던 대로 펴내려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