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흥국들 신용등급 추락 속출…한국 경제 영향은

한 때 유망했던 러시아, 브라질, 그리스 등 신흥국 경제가 휘청이고 있다.

이 중 러시아, 브라질은 유가와 원자재 가격 하락의 타격을 받았고 그리스는 부채 문제와 관련한 잡음이 다시 생기면서 그렉시트(Grexit,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흥국들이 흔들리면 한국경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한국 당국은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15일 국제 금융시장에 따르면 그리스 정부가 다가오는 상환일에 부채를 다 갚지 못할 경우 채무불이행(디폴트) 선언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스는 채권자들과 채무 만기 연장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오는 5∼6월에 25억 유로(2조9천억원)를 국제통화기금(IMF)에 상환해야 하지만 당장 공공부문 근로자 임금과 연금으로 지급해야 하는 24억 유로(약 2조8천억원)도 고갈되고 있다.

자금 조달 부담이 가중되는 그리스는 앞서 국가신용등급 하락의 악재도 만났다.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는 지난달 그리스의 국가신용등급을 투자 위험도가 매우 높은 'CCC'로 2단계 강등했으며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도 지난 2월 이 나라의 국가 신용등급을 'B'에서 'B-'로 1단계 내렸다.

다른 신흥국인 러시아, 브라질, 터키 경제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이들 국가들은 유가와 원자재 가격 하락의 직격탄을 맞았다.

국제 유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떨어지기 시작했다.

올해 들어 유가의 하락은 급속하게 이뤄져 최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지난해 7월과 비교해 반 토막이 났다.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FT)는 "브라질과 터키 등은 유가와 원자재 가격 약세로 구조적 어려움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유가 하락 등 외부 요인 외에 경제정책 운용의 실패, 정치적 불안정 등이 신흥국의 경제 위기를 불렀다는 지적도 있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에스와르 프라사드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신흥국들은 경제 개혁에 나서기 보다는 성장 위주의 정책을 폈고 디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느슨한 통화 정책, 높은 환율에 의존해 위기를 초래했다"고 설명했다.

신흥국들이 경제 침체 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하자 신용평가사들은 이들 국가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고 나섰다.

무디스는 지난 2월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투기(정크) 등급'인 'Ba1'로 강등했다.

강등 이유에 대해 무디스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국제유가 하락, 루블화 가치 하락 등이 겹치면서 중기 성장 전망이 악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는 17일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발표하는 피치 역시 무디스에 이어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정크 등급'으로 하향 조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브라질 역시 신용등급 강등 위기에 처했다.

피치는 최근 브라질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춰 국가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시사했다.

피치는 "브라질 거시경제 불균형, 재정 악화, 정부부채의 실질적인 증가 등이 국가신용등급의 하방 압력을 증대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신흥국 경제에 경고음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의 기준금리가 연내 올라가면 취약한 신흥시장의 충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세계 경제가 흔들릴 수 있으며 특히 과대평가된 시장과 신흥국의 충격이 심각할 것이라고 최근에 경고했다.

라가르드 IMF 총재는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유동성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자금이 빠져나가면 시장이 요동칠 수 있다"며 "세계 경제의 새로운 약세가 '새로운 현실'로 굳어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신흥국의 불안으로 인해 한국 자본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급격히 빠져나가면 자산시장이 흔들리면서 경제가 타격을 받을 수 있는 만큼 대응책을 철저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