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핵협상 불만' 중동 수니파 우방국 달래기 나서

미국이 이란과 2일(현지시간) 핵협상을 잠정 타결한 뒤 '반(反)이란 연대'인 중동 수니파 우방을 안심시키려는 작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번 핵협상으로 숙적이던 미국과 이란이 '적인 듯 적도 아닌' 관계가 되면서 중동의 전통적인 친미 맹방과 균열 조짐이 보이자 급한 불을 끄려는 것이다.

특히 예멘 사태와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등 중동 현안 해결에서 이들 수니파 국가의 협조가 어느 때보다 절실한 터라 미국의 발걸음은 더욱 바빠지고 있다.

토니 블링큰 미 국무부 부장관은 5일부터 레바논을 시작으로 중동을 순방 중이다.

그는 7일 이란이 배후로 지목되는 예멘 시아파 반군 후티를 공습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주도의 수니파 아랍국들에 미국의 무기와 정보를 더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레바논에서도 6일 이란과 가까운 시아파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시리아 내정 간섭은 레바논에도 해가 된다며 이에 맞서기 위해 레바논 정부군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블링큰 부장관은 8∼10일 아랍에미리트(UAE), 오만, 튀니지를 차례로 방문했다.

중동 전문가 제프리 애런슨은 알자지라 기고문에서 "이번 중동 순방의 목표는 오직 하나"라며 "친미 수니파 아랍국가들에 미국의 지지를 재확인시키려는 것으로 그의 상관인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의 핵협상 타결과 흥미로운 대조를 이룬다"고 평가했다.

케리 장관은 8일 PBS방송에 출연해 "미국은 이란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고 느끼는 모든 중동 국가를 지원할 것이며, 이란이 중동지역을 불안정하게 할 때는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비록 이란과 핵협상에서 손을 잡았지만 다른 중동 문제는 이와는 별개의 사안이라는 점을 못박으면서 수니파 아랍권이 우려하는 이란의 중동내 영향력 확산에 단호하게 대처하겠다는 것이다.

핵협상 시한인 지난달 31일을 앞두고 걸프지역을 중심으로 한 수니파 아랍권의 미국에 대한 불만과 의심은 어느 때보다 컸다.

이란이 이라크 티크리트 탈환작전에 직접 개입하자 사우드 알파이잘 사우디 외무장관은 지난달 5일 케리 장관의 면전에서 "티크리트는 우리가 우려하는 대표적인 사례"라며 "이란은 (그런 방식으로) 이라크를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사우디 정보국장을 지낸 투르키 알파이잘 왕자는 16일 영국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란과의 핵협상 타결은 아랍지역 국가의 핵개발로 이어질 것이며 사우디 역시 다른 나라와 같은 권리를 추구할 것"이라고 경계심을 드러냈다.

예멘 반군에 대한 예기치 않은 공습 역시 미국과 긴밀한 공조를 거쳤다기보다 이란의 확장에 즉각 대응하겠다는 사우디의 판단이 더 반영됐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제한적 개입과 대화를 축으로 하는 '오바마 독트린' 하에서 예전처럼 중동에서 미국의 대리자로만 머무르지 않겠다는 사우디의 독자 행보라는 것이다.

미국의 수니파 아랍권 '달래기' 작업은 외교적 수사에만 머무르지는 않을 전망이다.

미국은 이미 핵협상 타결에 맞춰 이집트의 군사 쿠데타로 2013년 10월 이후 중단 또는 유보했던 군사원조를 재개하기로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런 사실을 지난달 31일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직접 전화로 통화로 알렸을 만큼 세심하게 균형을 잡았다.

미 행정부는 또 F-16 전투기 12대와 M1A1 장갑차 125대, 하푼 미사일 20기 등 군사 장비의 이전을 중단하라고 당시 내렸던 행정명령도 철회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에 따라 의회에 연간 13억 달러의 군사원조 및 재정지원 예산을 요청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