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평창이 들을 5가지 쓴 소리

[취재파일] 평창이 들을 5가지 쓴 소리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준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제4차 조정위원회가 오늘(17일)부터 19일까지 강릉 라카이 샌드파인 리조트에서 열립니다. 이번 조정위는 이른바 '분산 개최' 파문 이후 처음 개최되는 것이어서 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IOC측에서 조정위원회 위원 11명과 사무국 및 전문가 20여명이, 평창 측에서 조양호 조직위원장, 최문순 강원도지사 등 50명이 참석하게 됩니다.

11명의 IOC 조정위원 면면을 보면 거물급 인사가 즐비합니다. IOC 집행위원인 구닐라 린드베리 조정위원장을 비롯해 오타비오 친콴타(국제빙상연맹 회장), 장 프랑코 카스퍼(국제스키연맹 회장), 르네 파젤(국제아이스하키연맹 회장), 다케다 츠네가즈(일본 IOC 위원, 2020 도쿄올림픽 유치위원장), 자이칭유(중국 IOC위원, 전 IOC 부위원장) 등 국제 스포츠계를 주름잡는 유명 인사들이 포진돼 있습니다. 조정위원들은 사흘 동안 각 분야별 대회 준비 상황과 핵심 이슈, 의무 및 계약상 이행사항들을 꼼꼼히 따지고 확인할 계획입니다.

IOC 조정위원회와 평창 조직위의 관계는 어떻게 보면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며느리가 잘 할 경우 순조로운 관계를 유지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호된 꾸지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평창 조직위와 강원도는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야심차게 제시한 이른바 '분산 개최'를 일언지하에 거절했습니다. 해외 분산개최, 남북 분산개최, 국내 분산개최 등 어떤 형태의 분산 개최에 대해 모두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습니다. 이제 평창 동계올림픽 준비의 책임은 전적으로 우리에게 달린 셈이 된 것입니다.

이런 배경과 함께 개막까지 시간이 얼마 남아 있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IOC 조정위원들이 이번에는 아주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것으로 전망됩니다.  때에 따라서는 지금까지 하지 않았던 ‘쓴 소리’도 마다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평창이 들을 것으로 예측되는 쓴 소리는 대략 5가지 정도입니다.   

1. 경기장 건설 왜 이리 늦나?

평창이 아무리 지적받아도 별로 할 말이 없는 대목입니다. 신축 경기장 현재 공정률을 보면 피겨-쇼트트랙 10.7%, 아이스하키1 10.9%, 아이스하키2 12%, 썰매경기장 20.3%, 스키 활강경기장 8.3%에 불과합니다. 가장 늦게 시작했던 스피드스케이팅은 재설계가 끝나지 않아 본격 공사에 돌입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기존 시설을 보완해 사용하는 경기장도 할 일이 많습니다. 수많은 결함으로 4년째 '무용지물'인 스키 점프대는 정부 예산 60억 원을 투입해 올해 말까지 방풍 네트, 인런 트랙, 조명 시설을 새로 설치해야 합니다.

2. 내년 2월 테스트 이벤트 할 수 있나?

스키 남자 활강 월드컵대회가 2016년 2월 강원도 정선 경기장에서 테스트 이벤트로 개최됩니다. 하지만 환경 훼손 논란으로 착공이 늦어져 현재 공정률이 8.3%(벌목 포함시 30% 정도)에 불과합니다. 올해 11월까지는 코스 설치를 끝내고 눈을 덮어야 대회를 제대로 치를 수 있는데 야간 공사를 강행한다고 해도 시간이 너무 촉박합니다.  만약 올 여름에 폭우, 태풍 등으로 공사가 더 늦어질 경우 사실상 테스트 이벤트가 거의 불가능할 것이란 걱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장 프랑코 카스퍼 국제스키연맹 회장도 지난달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테스트 이벤트가 제대로 열리기 어려울 것 같다"면서 공개적으로 쓴 소리를 했습니다.  

3. 스폰서 계약 이것밖에 안되나?

평창조직위는 현재 KT, 영원아웃도어, 파고다어학원, 삼일회계법인 4곳과 후원 계약을 체결했고 내일(18일) 대한항공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조직위의 목표 금액은 약 8천700억 원으로 지금까지 확보된 금액은 30% 수준입니다. 평창조직위는 올 여름 안에 삼성, 현대 등 굴지의 대기업과 주요 은행을 대상으로 대형 후원계약을 체결해 올해 안에 목표액의 60%를 달성할 계획이지만 실현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상황이 다급해지자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섰습니다. 박 대통령은 지난 2월 24일 청와대에서 대기업 총수들을 만나 평창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습니다. 참고로 지난 2014 소치올림픽의 경우 개막 3년을 남겨 놓고 이미 1조원을 넘겼고 최종적으로 13억 달러, 우리 돈으로 1조 4천억 원 이상을 후원 계약으로 확보했습니다. 같은 시점을 놓고 비교할 때 평창의 후원 계약 규모는 소치의 약 25% 수준에 불과합니다.

4. 국제 전문인력 정말 없나?

현재 평창조직위의 직원 수는 모두 300명 선으로 2016년까지 800명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완구 국무총리는 지난 13일 정부 우수인력 101명을 선발해 조직위에 파견하겠다며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동계스포츠에 대한 전문 지식과 외국어(영어) 실력, 국제 감각을 함께 갖춘 전문 인력이 크게 부족한 상태입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한국에 유능한 인력이 부족할 경우 돈을 아끼지 말고 각 분야별 외국인 전문가 50명 정도를 고용하라"고 평창 조직위에 충고한 바 있습니다. 외국인 전문가에 대한 급여는 전적으로 평창 조직위가 부담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자체 재원 마련이 힘들고 이들에 대한 비용도 2018년까지 거의 200억 원이 넘을 것으로 보여 결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5. 경기장 사후 활용 어떻게 할 것인가?

그동안 IOC가 줄곧 이 문제를 추궁했지만 평창 조직위는 일부 경기장을 제외하고는 이렇다 할 대답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몇몇 경기장은 아무리 생각해도 뾰족한 방안이 마땅치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후 활용방안 논의에는 올림픽이 끝난 뒤 경기장을 어떤 용도로 활용할 것인가와 누가 운영할 것인가라는 2가지 쟁점이 있습니다. 현재 피겨-쇼트트랙 경기장은 추후 실내 스포츠 스타디움으로, 아이스하키 2(여자) 경기장은 관동대 체육관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나머지 경기장은 활용 방안과 관리 주체에 관해 문체부와 강원도의 의견이 통일되지 않아 아직까지 확정된 계획이 없는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의 경우 강원도는 복합 테마파크를 검토하는 반면 문체부는 철거 또는 국가대표 훈련 시설 활용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IOC 조정위로부터 1년 넘게 쓴 소리를 들어온 '평창 선수촌 건설' 문제는 다행히도 최근 정부의 전향적인 입장 전환으로 한숨 돌리게 됐습니다. 3천500명을 수용하는 평창 선수촌은 올림픽이 끝난 뒤 일반인에게 분양되는데 지역적 특성상 미분양이 우려돼 착공이 늦어졌습니다. 정부는 이 선수촌에 한해 예외적으로 '1가구 2주택'을 인정하지 않는 법령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어서 오는 7월에는 첫 삽을 뜰 수 있게 됐습니다. IOC 조정위원회는 2014년부터 1년에 2차례 열리는 것이 원칙인데 제5차 조정위는 오는 9월 22일부터 사흘 동안 개최될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