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제주 아파트값 9년새 2배 올라…부동산시장 과열"

제주의 일부 아파트 매매가격이 9년 새 무려 2배 가까이 오르는 등 부동산 시장이 과열돼 실수요자인 미래 세대에 큰 부담을 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25일 제주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주 부동산 시장 이대로 좋은가'란 주제의 토론회에서 정수연 제주대 경제학과 교수는 발제를 통해 제주도 부동산 시장이 활황을 넘어 과열화되고 있는 상황을 설명했다.

정 교수의 발표에 따르면 국민은행이 작성한 주택가격매매지수 자료에서 2008∼2014년 7년간 제주의 주택 가격 상승률은 43.07%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상승률은 19.6%에 그쳤으며, 서울은 오히려 2.76% 하락했다.

한국감정원의 아파트 실거래가격지수도 2011년을 기점으로 서울보다 제주의 지수가 더 높아졌다.

제주시 연동의 86㎡(26평)짜리 D아파트는 실거래가격이 2006년 초반 1억8천만원에서 2010년 말에는 2억6천만원으로 44.4%나 올랐다.

지난해 말에는 3억5천만원 선에서 거래돼 9년 새 2배 가까이 상승했다.

이도동 H아파트는 2009년 분양할 당시 제주에서는 처음으로 프리미엄이 5천만원 붙었는데 이를 시작으로 아파트 시장의 과열화가 나타났다.

당시 아파트 시장이 전국적으로 침체를 면치 못할 때였지만 이 아파트는 3.75대 1의 청약 경쟁률을 보였다.

2012년에는 제주시 노형동 I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이 36대 1까지 치솟았다.

정 교수는 "2009년 가격 과열 현상은 양질의 신규주택 공급이 오랫동안 이뤄지지 않아 실수요자들이 반응한 것이지만, 2012년에 36대 1까지 청약경쟁률이 오른 것은 실수요자들만의 반응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정 교수는 분양권 전매 차익을 얻기 위한 시장참여자나 단기간의 가격 급상승을 통해 매매차익을 얻기 위한 시장참여자 등이 상당수 존재한 것으로 봤다.

그러나 제주 아파트 가격의 급등 현상은 시내 일부 지역에 국한된 것으로, 제주는 읍·면·동 별로 부동산 시장의 이질성이 크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이뤄지는 평균 통계로는 국지적인 시장 과열현상을 포착하기 어려워 제주도만의 통계 작성이 필요하다고 정 교수는 주장했다.

거래량 면에서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언론에서는 중국인의 제주 부동산 거래에만 초점을 맞춰 다루고 있지만 중국인의 거래량은 지난해 기준 제주도 전체 부동산 거래량 6만982건 가운데 3천949건(6.5%)에 불과하다고 정 교수는 짚었다.

정 교수는 이처럼 부동산 시장이 과열돼 갖가지 부작용이 생길 것을 우려했다.

소득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음에도 주택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 제주의 미래 세대가 주택을 구입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어 도민 삶의 질이 하락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교육 여건이 좋고 편의시설이 집중된 제주시 연동, 노형동의 대단지 브랜드 아파트에 도민 수요가 집중돼 수요가 넘치고 있지만 대체재가 마련되지 않아 연동이나 노형동의 오래된 아파트를 고가에 구입하는 등 주거 품질이 열악해진다.

토지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제주국제자유도시 성공을 위해 투자를 유치해야 할 제주도정 역시 큰 부담을 안게 된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밖에도 상대적 빈부격차로 인한 계층 갈등 유발, 이상 거래의 확산, 시장 교란 등 여러 문제점이 예상된다.

정 교수는 제주 부동산 시장 과열의 원인으로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 대책, 국제자유도시 성공에 대비한 부동산 정책 부재, 개발사업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 상승 대책 부재, 지역 부동산 시장 통계 부족 등을 꼽았다.

부동산 과열 현상을 진정시키기 위한 대책으로는 제주도 부동산 시장을 총괄할 주택청 신설, 저소득층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과 주택기금 신설, 중산층을 위한 대체 주거지역 개발 등을 내놨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